네이버 검색어 중 사회적 약자에 대한 비하 또는 특정직업을 비하하는 비속어를 검색어에서 제외해달라는 신고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네이버가 2021년 종료한 ‘실시간급상승검색어’ 서비스가 실제 이용자들의 검색 경험에 미친 영향은 예상과 달리 제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네이버 검색어 검증을 맡고 있는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가 펴낸 3기 검증위원회 3차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네이버 검색어에서 개인이 이용하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불만이나 이용자간의 분쟁 등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KISO 측은 “명예훼손 및 사생활침해의 경우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온라인 서비스 이용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이에 대한 서비스 불만 관련 검색어가 다수 생성됐다”고 밝혔다. 3기 검색어 검증위원회에는 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재신 중앙대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를 비롯해 이승환 대구대 법학부 교수, 윤여진 언론인권센터 상임이사,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등 4명이 참여중이다.
검색어에서 제외된 키워드 대부분은 명예훼손이나 개인정보 노출 관련 건이었다. 지난해 당사자 및 제3자의 요청에 의해 제외된 ‘연관검색어’는 498건이었으며 항목별로 보면 △명예훼손 및 사생활 침해 (255건) △어뷰징(155건) △불법·범죄성(33건) 순이었다. 네이버가 자체 판단으로 제외한 ‘연관검색어’는 총 9797건으로 △개인정보노출(6803건) △기타(2364건) △청소년유해(418건) 순이었다.
‘자동완성검색어’ 중 당사자 및 제3자의 요청에 의해 제외된 사례는 총 319건으로 △명예훼손 및 사생활 침해(202건) △어뷰징(43건) △개인정보노출(23건) 순이었으며, 네이버 자체 판단에 의해 삭제된 검색어는 △오타(126건) △청소년유해(30건) △개인정보노출(11건) 순이었다. 네이버 측은 특히 지난해 ‘이태원 참사’와 관련된 피해자 보호를 위해 이들 검색어 제외 조치를 단행했다. ‘청소년 유해’를 이유로 제외 처리된 검색어 중 상당부분은 이태원 참사와 관련이 있었으며, 혐오·잔혹성과 관련된 검색어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는 또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에서 생성된 고발성 내용 등이 검색어로 유입될 경우, 향후 불법 사실 여부 판단 후 노출 여부를 조정하는 작업을 진행중이다.
네이버는 ‘가짜뉴스’에 대한 대응에도 비교적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는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에서 고발성 내용이 방송된 후 이에 대한 검색어가 생성될 경우, 이들 검색어를 우선 제외 조치 한 후 향후 불법 범죄사실로 판명되면 해당 검색어를 노출하는 방식으로 대응 중이다. 네이버 측은 검색어 제외 조치가 ‘이용자의 알권리를 제한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KISO 검증위원회 측은 “검증작업에서 노출 제외 검색어에 네이버가 임의적, 자의적 처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KISO 정책규정 내용에 부합되게 잘 처리됐다”고 평가했다.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종료와 관련한 영향에 대해서는 “관련 서비스 종료 전후로 명예훼손 및 사생활 침해, 개인정보노출, 불법·범죄성 등 각 항목별 비율에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지는 않았다”며 “해당 서비스에서 공적 관심사나 사회적 이슈에 대한 검색어 생성이 특별히 더 많았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