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홈쇼핑 시청자의 69%가 모바일이나 인터넷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홈쇼핑 채널 송출수수료 산정을 두고 업계 간 갈등이 있는 가운데 수수료 산정 기준에 새로운 결제 방식이 반영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28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에 따르면 정윤재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조사 결과를 공개하면서 “홈쇼핑사들이 최근 방송 대신 인터넷 모바일 결제를 유도하는 가운데 송출수수료의 합리적 산정을 위해선 새로운 매출액 집계 기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TV홈쇼핑 시청 후 방송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만 20~59세 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다단계 층화 확률 비례 할당으로 홈쇼핑 방송사별 50명씩 표집해 조사했다.
이에 따르면 가장 최근에 구매한 제품 서비스군에 대한 결제 합계 350건 중 약 110건(약 31%)이 전화상담 혹은 ARS로 결제했다. 240건(약 69%)의 경우 모바일앱 또는 인터넷 사이트, 카카오톡으로 결제했다고 응답했다. 정 교수는 “TV홈쇼핑 방송 중 인터넷 모바일 결제 유도가 지속적으로 등장해 있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결제방식 선택에 결제 유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TV 홈쇼핑방송 7개 채널 1341개의 방송 꼭지를 총 6만 8428분 간 모니터링 한 결과 모든 방송 꼭지에서 최소 1개 이상의 인터넷 모바일 결제 유도 유형이 등장했다. 노출된 인터넷 모바일 결제 유도 유형은 QR코드, 카드할인 배너 등 총 11개로 나타났는데 QR코드 87.1%(1168회), 즉시 할인·할인 쿠폰·적립금 배너 80.7%(1082회) 등으로 집계됐다. 정 교수는 “지난 3월 발표된 홈쇼핑 방송채널 사용계약 가이드라인에서 모바일 인터넷 매출 반영 수준을 사업자 간 합의하도록 했지만 정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았다”면서 “인터넷 모바일 결제가 증가하는 현실을 반영한 공신력 있는 송출수수료 기준 마련을 통해 사업자 간 협상에서 분쟁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