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의 약한 고리인 제조업을 육성하고 세계 정세에 열린 태도로 변화를 수용했죠.”
인도 경제정책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는 인도국가개혁위원회 부의장 출신의 라지브 쿠마르는 지난해 11월 뉴델리에서 진행된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인도 경제 부흥’의 원인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전 세계적인 경제 침체 와중에 인도가 6.3%(IMF 2023년 기준)의 고성장을 달성한 데는 자국의 역량에 대해 정확히 진단하고 이에 따른 해법으로 투자를 유치하는 한편 미중 갈등을 기회로 공급망 기지로서 인도의 몸값을 올리려는 삼박자가 맞아떨어진 결과라는 것이다. 그는 “인도는 중국의 대안이 되고 싶어한다”며 인도가 글로벌 공급망의 ‘린치핀’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 글로벌 기업의 ‘인도 러시’는 확인되고 있다. 애플·마이크론 등 내로라하는 미국 기업들이 조 단위 인도 투자 계획을 내놓은 데 이어 테슬라도 기가팩토리 구축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인도에 유입되고 있는 외국인직접투자(FDI) 금액은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집권 2년 차인 2015년 556억 달러에서 2021년 848억 달러, 2022년 710억 달러로 급증했다. 글로벌 제조 기지로서 인도가 급부상 중임을 감안하면 올해 해외 자본과 기업의 블랙홀로서 인도가 더욱 부각될 가능성이 크다. 인도가 투자 유치를 위해 생산 연계 인센티브 정책 등 각종 프로젝트를 순조롭게 추진하고 있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특히 경제 성과를 바탕으로 올 4~5월 총선에서 3연임이 유력한 모디 총리의 안정적 리더십은 인도의 도약에 날개를 달아줄 것으로 기대된다. 조충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델리사무소장은 “나렌드라 모디 정부 입장에서는 지속적인 투자 확대 정책을 추진해왔는데 지정학적 이슈까지 생겨 오히려 국내외적으로 인도를 돋보이게 만들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실리적으로 활용하는 인도의 대외 정책은 우리 입장에서 참고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