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은행이 지난 3년간 주가연계증권(ELS) 판매해 7000억 원에 가까운 이익을 남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최근 만기가 돌아온 홍콩H지수 기초 ELS 상품 가입자들은 원금의 절반 이상을 잃은 것으로 확인됐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2021년부터 2023년 3분기까지 ELS 판매 수수료를 통해 거둔 이익은 총 6815억 7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5대 은행은 H지수가 1만2000을 넘어 최고점을 경신한 2021년에 관련 상품 판매 호조로 2806억 9000만 원의 이익을 거둬들였다. 최근 3년 중 최대치다. 2022년과 작년(3분기까지 누적)에는 각 1996억 9000만 원, 2011억 9000만 원에 달하는 이익을 냈다.
ELS의 투자 수익률은 각 상품이 기초자산으로 삼은 지수와 연계해 결정된다. 증권사가 ELS를 설계·발행하면 은행들은 이를 가져와 주가연계신탁(ELT)이나 주가연계펀드(ELF) 형태로 판매한다. 은행은 3년 동안 주로 ELT 판매에 집중해왔다. 은행은 판매 과정에서 수수료를 받아 이익을 내는데 ELT의 경우 보통 판매액의 1%, ELF에서는 대면과 비대면 판매액의 각 0.9%, 0.7% 수준이다.
은행이 ELS 상품 판매로 매년 수천억 원의 이익을 올린 반면 상당수 ELS 가입자는 큰 손실을 입고 있다. 특히 올해 상반기 만기가 몰린 H지수 ELS의 경우 지난 2일 기준 H지수 5219를 기록, 2021년 당시 고점(약 1만 2000)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면서 대규모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5대 은행이 판매한 H지수 기초 ELS 상품 중 올해 들어 지난 2일까지 만기가 돌아온 것은 모두 7061억 원 가량인데 고객이 돌려받은 돈(상환액)은 3313억 원으로 평균 손실률이 53.1%에 달한다. H지수가 5000을 하회했던 지난달 하순 만기를 맞은 일부 상품의 손실률은 -58.2%에 이른다.
문제는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H지수 ELS 상품이 전체 15조 4000억 원어치나 된다는 점이다. 상반기에만 10조 2000억 원에 달한다. H지수가 현재 흐름에서 벗어나지 못할 경우 전체 손실액은 7조 원 안팎까지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한편 H지수 ELS의 대규모 손실이 우려되자 주요 시중은행은 지난해 11월 관련 ELS 판매를 중단했다. 지난주에는 KB국민·신한·하나은행이 모든 ELS 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했다. NH농협은행은 작년 10월 초부터 원금 보장이 되지 않는 ELS를 팔지 않고 있다. H지수뿐 아니라 다른 연계 기초자산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닛케이225 등의 주가지수가 최근 10년 내 최고 수준에 이르면서 또 다른 위험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ELS 상품의 특성상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능동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ELS 중단 검토’를 시사하는 발언을 한 점도 은행들의 ELS 전면 판매 중단 조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은행에서 ELS를 판매하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는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금융감독원의 검사 결과가 나오면 관련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