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가 내년부터 합산 5300억 원의 매출 손해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5세대 이동통신(5G) 요금제 개편으로 같은 규모의 가계통신비 절감 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추정치를 발표하면서다. 가입자들이 새로 생긴 중저가 요금제를 선택하면서 요금 지출이 줄어들 것이라는 계산이다.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가계 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에 따르면 요금제가 세 차례에 걸쳐 개편된 2022년 6월부터 지난달까지 3만~6만 원대의 중저가 요금제로 갈아탄 가입자 수는 621만 명이었다. 전체 5G 가입자 중 19%가 요금제를 하향해 통신비를 아낀 셈이다. 과기정통부는 최근 3차 개편으로 요금제 변경 수요가 더 늘 것으로 보고 지금 추세대로면 1년 뒤인 내년 3월까지 누적 1400만 명이 요금제를 낮출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이 고가 요금제를 쓰지 않아서 아낄 수 있는 돈은 연간 5300억 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곧 통신사들의 매출 감소를 의미한다. 휴대폰 5G 회선 점유율을 감안하면 5300억 원 중 SK텔레콤(48%)이 2500억 원, KT(30%)는 1600억 원, LG유플러스(22%)가 1100억 원 정도의 손해를 입는다. SK텔레콤 기준 지난해 이동통신 매출 10조 5540억 원의 2% 이상이다. 3사 모두 5G 성장 둔화로 수익성이 악화하는 상황에 인공지능(AI) 등 신사업 투자도 강화하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실적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과기정통부는 2022년 7월부터 이달까지 세 차례에 걸쳐 이통 3사의 5G 중저가 요금제 구간 신설과 세분화를 유도해왔다. 이전까지 SK텔레콤 기준으로 월 5만 5000원짜리 10GB, 6만 9000원짜리 110GB 등 2종에 불과했던 7만 원 미만 요금제는 전날 개편을 거쳐 9종으로 늘었다. 월 3만 9000원에 6GB를 주는 상품도 나오면서 요금제 하한도 3만 원대로 내려갔다. 이 영향으로 7만 원 이상의 고가 요금제 가입 비중은 2022년 6월 53%에서 지난달 41%로 12%포인트 줄었고 반대로 나머지 6만원대 이하의 중저가 요금제 가입 비중은 같은기간 47%에서 59%로 늘었다.
과기정통부는 요금제 개편, 중저가 단말기 확대에 더해 추가적인 통신비 대책을 연내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29일 ‘선택약정 25% 요금할인 1년+1년 사전예약제’를 도입한다. 가입자들의 선택약정 기간은 통상 2년인데 이를 1년씩 2회로 나눔으로써 중도 해지 시 위약금 부담을 절반으로 줄인다는 취지다. 또 가입자가 1년마다 약정을 새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처음 1년 약정이 끝나기 전에 추가 1년을 사전예약할 수 있도록 했다. 국회와 협조해 단통법 폐지를 앞당기고 통신사가 가입자별 최적 요금제를 추전하도록 의무화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추진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