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파트너스자산운용이 출자자(LP)들의 요구에 따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20개의 시내버스 운수회사를 연내 통매각한다. 이미 명진교통은 LP도 모르게 팔아 호된 질타를 받았다.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와 진행했던 협상은 공식 중단했다.
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차파트너스는 지난 3일 30여개의 출자자(LP)와의 총회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운용사(GP)인 차파트너스가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대로 올해 안에 1~3호 펀드를 팔고, 4호 펀드 자산 매각도 동시 논의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차파트너스는 2019년과 2020년 세운 차파트너스퍼블릭모빌리티 1호·2호·3호 PEF를 통해 한국BRT, 명진교통, 동인여객, 삼환교통, 송도버스, 성산여객 등 서울, 인천, 대전 지역 내 준공영제 버스운수사 10곳의 경영권을 인수했다. 보유 버스는 약 950대에 달한다. 이들 세 곳의 펀드는 합산 기준 총 1620억 원 규모로 알려졌다. 펀드 만기는 올해 12월부터 도래한다.
또 총 2000억 원 규모의 4호 PEF로 도원교통, 신실교통 등 7개 운수사의 총 650대 버스를 소유하고 있다.
GP와 LP간 갈등을 불러 일으킨 배경은 차파트너스가 비밀리에 KKR로의 통매각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투자금 회수를 위한 명목으로 인천 소재 명진교통(60대 보유)을 인천 업계 관계자에게 매각해버렸다. 가격은 100억 원에 다소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뒤늦게 소식을 접한 LP들은 투명성이 없다고 반발했고 다시 공개매각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김주원 차파트너스 공동대표는 “현재 시점에서 내부 다툼은 없고, 잘 합의해 매각을 진행하겠다”고 LP들에게 해명했다.
일부 LP들은 차파트너스가 무리하게 GP지위를 유지하려고 KKR에 소수 지분 매각을 추진했다는 불만도 갖고 있다. 특히 서울시는 시민 세금으로 적자를 보전해주는 준공영제에선 지분의 많고 적음을 떠나 해외 자본은 아예 들어올 수 없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지난 2022년 5월 내부 지침으로 민간 자본 진입 기준을 마련, 자산운용사의 자격 기준을 ‘설립 후 2년이 경과한 국내 자산운용사’로 규정했다.
한 LP 관계자는 “다른 원매자들이 들러리로 인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면서 "자문사 선정부터 매각 절차 중간 단계마다 투명하게 보고를 하는 시스템을 어떻게 만들지 고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