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인공지능(AI) G3(주요 3개국)’ 반열로 도약시키기 위한 국가AI연구거점이 조성됐다. AI연구거점은 국내 산학연 간 연구를 비롯해 글로벌 공동연구 프로젝트 등을 수행하며 2028년까지 94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국가AI연구거점은 이미 출범한 국가AI위원회와 다음 달 본궤도에 오를 AI안전연구소와 함께 국가 AI 발전의 3각축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28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서울AI허브에서 국가AI연구거점 개소식을 개최했다. 국가AI연구거점은 내년까지 7600㎡ 규모로 확충될 계획인 서울AI허브에 자리잡아 글로벌 AI 리더 양성과 AI 관련 산학연 연구 생태계의 구심점 역할을 맡게 된다. 국가AI연구거점의 구축과 운영을 맡을 수행기관으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고려대·연세대·포스텍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개소식에서 “올해 노벨상 수상자에서 보듯 AI가 과학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며 "AI에 나라의 명운이 걸린 만큼 국가AI연구거점이 연구중심지로서 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경제성장과 번영, 약자와의 동행, 외교안보 등 모든 것이 AI가 좌우하는 만큼 나라의 명운이 이 공간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국가AI연구거점에서는 유수의 국내외 연구진들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 속도전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AI연구거점 총괄책임자인 김기응 KAIST AI대학원 교수는 “뉴럴 스케일링 법칙 초월연구와 로봇파운데이션 모델 연구가 국제 공동연구의 중심이 될 것”이라며 “2026년까지 학술연구 교류·확산과 산업 연계를 통한 기술 상용화 수준을 밟고 2028년 독립법인으로서 연구소 사업 운영이 또 한번 전환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가 강조한 뉴럴 스케일링 법칙 초월연구는 AI 모델 훈련과 운용에 필요한 비용 곡선의 법칙의 한계를 초월하는 새로운 학습 방법과 모델 개발이다. 또 로봇파운데이션 모델 연구는 차세대 AI 로봇의 인지·의사결정·제어 등의 기능을 확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모델로, 개발에 성공할 경우 글로벌 기술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D뿐 아니라 국가AI연구거점은 글로벌 AI 리더 양성 기능과 AI 분야 산학연 생태계를 집약하는 플랫폼 역할도 맡게 된다. 국가AI연구거점에는 미국을 비롯해 캐나다·프랑스·아랍에미리트연합(UAE) 등지의 연구자들도 일정기간 국내에 상주하면서 주요 연구 과제를 함께 수행하게 되며 정기적으로 국제 세미나를 개최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도 구축·확장해나갈 예정이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국가AI연구거점은 국제 공동연구와 인재양성, AI 생태계를 집약하는 플랫폼 기관 역할을 할 것”이라며 “AI 분야 연구자들이 국내외 활발한 교류를 통해 창의적이고 확실한 연구가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9월 윤석열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AI위원회를 출범시킨데 이어 미국 뉴욕에 ‘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을 개소했다. 이날 문을 연 국가AI연구거점과 내달 개소할 AI안전연구소까지 3개 기관을 축으로 AI G3 도약을 위한 총력전을 펼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회에서 공전 중인 ‘AI기본법’ 제정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유 장관은 “AI G3 도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AI기본법 제정이 시급하다"면서 “국회와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