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1인 가구가 씀씀이를 크게 줄이면서 한국의 전체 소비 회복을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인 가구는 가계 내 리스크 분담이 어려워 고물가·고금리 부담을 고스란히 지게 된 영향이다.
한국은행 조사국이 3일 발표한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대비 2023년도의 1인 가구 평균소비성향은 5.8% 하락했다. 5인 이상 1.8%, 4인 0.5% 하락한 것과 크게 대조된다. 평균소비성향은 소비지출을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1인 가구의 소비력 약화의 원인으로는 팬데믹을 거치면서 오른 주거비가 지목됐다. 1인 가구 중 월세 비중은 42.3%로 전체 가구의 약 2배 수준이다. 특히 29세 이하 청년 1인 가구의 월세 비중은 64.1%에 달한다.
고령층 1인 가구는 코로나19 경제 충격 당시 임시·일용근로 일자리가 크게 줄면서 겪은 '상흔(상처) 효과'가 상당 기간 이어져 소비를 줄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코로나19 이후 급등한 생활물가, 다른 가구원들과 경제 리스크를 분담하기 어려운 1인 가구의 구조적 특성 등도 소비성향 약화의 요인으로 거론됐다.
2023년 기준 세 가구 중 한 가구가 1인 가구이고, 전체 소비 지출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약 20%에 이는 상황에서 1인 가구의 소비력 약화는 한국의 전체 소비 회복까지 구조적으로 제약하고 있다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한은은 "내수 기반을 튼튼히 하기 위한 방안으로 1인가구의 높은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한 주거 안정 대책이 절실하다"면서 "고령층에 대해서는 열악한 소득과 고용을 해결하는 빈곤 대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