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초유의 계엄 사태로 불확실성이 극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D램 가격이 폭락하면서 반도체 업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메모리 업체들의 저가 공세가 범용 D램의 공급 과잉을 부추기면서 가격을 끌어내려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불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8일 시장조사업체 D램 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 제품(DDR4 8Gb 1Gx8)의 평균 고정 가격은 11월 기준 1.35달러로 집계됐다. 7월 2.1달러에서 넉 달 만에 35.7%나 급락했다. 직전 달인 10월 기준으로도 20.59% 폭락하면서 올 들어 가장 큰 낙폭을 나타냈다.
앞서 반도체 업황은 D램 가격이 2022년 2월 이후 1년 반 정도 하락하다가 메모리 업체들의 감산 효과와 재고 소진 등에 업황이 회복하면서 지난해 10월부터 반등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후 경기 침체가 길어지고 스마트폰, PC 등 전방 IT 수요 부진이 이어지자 10개월 만인 지난 8월을 기점으로 상승세가 꺾였다.
여기에 그간 설비 투자를 적극적으로 늘려온 중국 업체들의 D램 저가 판매 공세가 겹치자 공급 과잉이 심해져 가격 낙폭이 커졌다. 업계에 따르면 중국 메모리 업체인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와 푸젠진화(JHICC)는 DDR4 8Gb D램을 시중 가격의 절반 수준인 0.75~1달러에 팔아치우고 있다.
중국의 저가 공세 여파로 레거시(범용) 제품인 DDR4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견조한 수요를 유지해 온 선단 제품인 DDR5 가격도 하락 압박을 받고 있다. 11월 PC용 DDR5 16Gb 제품의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3.9달러로 10월 4.05달러 대비 3.7% 하락했다. 7월 4.65달러와 비교해서도 16.1% 내렸다.
이는 CXMT 등 중국의 물량 공세에 대비해 글로벌 메모리 3사인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 마이크론이 선단 공정 전환에 속도를 내면서 DDR5 공급 증가 우려가 불거진 탓이다. 시장조사업체인 트렌드포스는 “CXMT가 DDR4 생산능력을 공격적으로 확장하면서 메모리 3사에 DDR5로의 공정 업그레이드를 가속화하고 있다”며 “공급 증가 압력이 DDR4에서 DDR5로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전방 IT 수요가 뚜렷한 개선 조짐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데다 수요 부진 영향에 고객사의 메모리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내년 1분기까지 레거시 D램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동희 SK증권 연구원은 “올해 4분기부터 내년 1분기까지 수요 부진 영향이 확대되는 국면에서 레거시 제품 가격 하락에 따른 공급사의 실적 방어 전략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