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금융회사가 오픈소스 인공지능(AI) 모델을 내부 전산망에 직접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오픈소스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기술이다 보니 보안이 취약한 문제가 있었지만 금융 당국이 검증된 모델만을 모아둔 플랫폼을 만들어 이를 안전하게 쓸 길을 마련한다.
금융위원회는 1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금융권 생성형 AI 활용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금융 당국은 금융사가 오픈소스 AI 모델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금융권 AI 플랫폼’을 내년 상반기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플랫폼에는 전문가 집단이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한 오픈소스 AI 모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모아둔다. 아울러 이를 사전에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 금융사 데이터를 활용해 실제 적용 가능성을 점검한다. 금융사는 플랫폼에 등록된 모델을 내부망에 직접 연결해 활용할 수 있고 테스트 환경에서 도입 전에 시험을 해볼 수도 있게 된다.
금융위가 금융권 생성형 AI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한 것은 망 분리 규제 때문에 금융사가 AI를 내부 전산망에 직접 다운로드 받기 어렵다 보니 도입 속도가 더디기 때문이다. 금융 당국이 인터넷과 금융사 내부 전산망의 중간 다리 역할을 맡으면 금융사가 규제에 구속받지 않고 오픈소스 AI를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금융위는 “금융사가 오픈소스 AI를 통해 내부 정보 등을 활용하는 내부 규정 챗봇이나 홍보물 등 콘텐츠를 보다 손쉽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면서 “금융사가 오픈소스 AI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미리 시험해볼 수 있도록 기능 테스트 기반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플랫폼에 올라 있는 오픈소스 AI 모델을 금융 분야에 최적화한 모델로 개선하기 위해 공공 데이터도 제공할 계획이다. 금융 법규와 업권별 보도자료, 연수기관 교육자료뿐만 아니라 금융보안원 등이 보유한 이상거래탐지(FDS) 관련 데이터를 한데 모아 활용한다. 주요 오픈소스 AI 모델이 주로 영미권 언어 기반의 일반적인 데이터를 학습했기 때문에 금융 분야에서 전문성이 떨어지고 한국어 인지능력이 부족한 점을 보안하기 위해서다.
아울러 금융위는 이날 금융사 경영진이 AI를 활용할 때 지켜야 할 원칙 등을 담은 ‘금융 분야 AI 가이드라인’도 새로 마련했다. 금융사들이 AI를 도입할 때 준수해야 할 점들을 명기함으로써 보안 문제 등 장애물을 사전에 명확히 하고 빠른 의사 결정을 돕기 위해서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AI 관련 서비스를 ‘보조 수단’으로 규정하고 최종 의사 결정에 대한 책임은 임직원이 지도록 했다. 예를 들어 AI가 특정 자산에 투자하는 게 가장 적절하다고 결론을 내렸더라도 담당 직원이 투자 위험성 등을 재검토하고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AI 개발 중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와 모델 사용 △AI 활용 시 금융 소비자 이익 최우선 고려 △보안성 기준 및 점검·개선 체계 마련 등 지켜야 할 사안들도 담겼다. 금융위는 이 같은 원칙을 기반으로 구체화한 안내서를 내년 상반기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국내 금융사들은 높은 수준의 보안 규제로 인해 AI 활용이 어렵다는 의견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다”며 “그간에 나온 의견을 종합해 금융권 AI 활용 인프라, 금융권 특화 데이터 지원, 금융 분야 AI 가이드라인 개정 등 금융사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 체계를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