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남동발전이 총사업비 3조 1000억 원 규모의 신안우이 해상풍력발전 사업에서 끝내 철수한다. 공공 주도로 질서 있게 해상풍력발전을 보급하겠다는 정부 구호와 달리 현장에서는 공공 부문이 사업의 리스크 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남동발전은 지난해 12월 신안우이 해상풍력 프로젝트와 관련해 지분 매각을 통한 사업 철수를 최종 결정하고 이를 공동 개발사들에 통보했다. 풍력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공개입찰이냐 수의계약이냐, 통매각이냐 부분매갹이냐 같은 매각 절차와 방식 등을 놓고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신안우이 해상풍력은 전남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 인근 해상에 390㎿급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3조 1000억 원으로 자기자본 6200억 원, 타인자본 2조 4800억 원으로 구성된다. 한화오션과 남동발전이 각각 지분 37%, SK이터닉스가 26%를 보유하고 있다.
이 사업은 산업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의 ‘2023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에서 낙찰자로 선정돼 향후 20년간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받았다. 하지만 지난해 8월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공공기관 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탈락하면서 급제동이 걸렸다. 자재비와 시공비가 급등한 탓에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업계에서는 남동발전이 지분 통매각보다는 분리매각할 가능성을 더 높게 점치고 있다. 인수가 유력한 곳으로는 현대건설(지분 20%대)과 동서발전(10%대) 등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남동발전 지분을 한화오션이 일단 사들인 뒤 추후 적정 인수처를 찾는 방식도 거론된다.
문제는 에너지 공기업의 예타 통과 불발과 지분 매각이 국내 해상풍력 개발 사업에 부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총사업비 2000억 원 이상, 공공기관 부담금 1000억 원 이상인 대규모 신규 투자 사업은 예타를 거쳐야 하는데 중국산 터빈 등 값싼 부품을 대거 쓰지 않는 한 경제성을 충분히 낮추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발전 공기업의 한 관계자는 “에너지 안보, 공급망 확보 등 해상풍력의 공공성을 강화한다던 기존 취지와 앞뒤가 안 맞는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