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홀딩스(006840)의 1300억 원 규모의 교환사채(EB)를 인수했던 국내 증권사들이 이 EB를 시장에 모두 내다 판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 EB를 넘겨받은 운용사 등 기관투자가들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사측에 원금 상환을 요구하는 풋옵션(팔 권리)을 청구하고 나선 상태다. 시장에서는 이들이 올 3월 재도래하는 풋옵션 기일에 나머지 원리금 전체 상환을 요구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AK홀딩스가 3회 차 EB 최초 투자자인 대신증권(800억 원), 메리츠증권(350억 원), 한국투자증권(180억 원) 등 3개 증권사는 2022년 연말까지 이 EB를 모두 셀다운했다. IB 업계 관계자는 “메자닌 투자 전문 운용사나 일반 법인 등 수십 곳이 EB를 쪼개서 가져갔다”고 말했다.
2022년 9월 발행된 AK홀딩스 3회 차 EB는 제주항공(089590)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채다. 교환가액은 1만 5050원이다. 그러나 제주항공 주가는 EB 발행 후 한번도 교환가액을 넘어서지 못했고 최근까지도 주가는 꾸준히 하락했다. 이에 사채권자들은 한 번도 주식 교환을 하지 못했다. 그사이 풋옵션 기일이 지난해 9월과 12월 찾아오면서 사채권자들은 총 463억 원에 해당하는 EB의 원리금 상환을 청구하며 돈을 받아갔다.
시장에서는 올 3월 다시 도래하는 풋옵션 청구일에 시장의 나머지 사채권자들이 한꺼번에 800억 원에 달하는 원금 상환 요구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EB를 보유한 한 운용사 대표는 “우리도 돌아오는 풋옵션 기일에 원리금 상환을 청구할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29일 벌어진 항공기 사고에 불안이 가중된 점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항공권 취소 건수가 많아 회사는 운항 안정성 향상을 위해 3월까지 국내선과 일본·동남아 등 노선의 운항편 약 1900편을 감편하기로 했다. 제주항공 주가는 참사 이후 7000원대로 밀린 뒤 아직 전 가격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애경그룹 전반에 재무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점도 대량 풋옵션 예상을 뒷받침한다. 그룹의 주력인 석유화학 부문 계열사 애경케미칼과 백화점 부문 계열사인 AK플라자 실적이 악화하고 있는 게 뼈아프다. 애경케미칼은 업황 악화로 지난해 3분기까지 영업이익이 177억 원을 기록하는 등 전년 대비 반 토막 났다. 2020년부터 매년 적자를 기록 중인 AK플라자는 최근까지 AK홀딩스로부터 1792억 원의 자금을 수혈받았다.
AK홀딩스와 애경자산관리가 제주항공 지분을 담보로 증권사들로부터 1673억 원을 대출받은 것도 우려되는 대목이다. 이 중 3월 만기 규모만 310억 원에 달한다. 현재 제주항공 주가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낮아져 있어 담보 유지 비율을 초과한 증권사 쪽에서 상환 압박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