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기업들의 대졸 신입 정규직 사원 초임이 연평균 5000만 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과는 연간 약 2000만 원의 임금 격차가 났고 일본보다 대졸 초임이 30%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2일 고용노동부의 근로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발표한 ‘우리나라 대졸 초임 분석 및 한일 대졸 초임 비교’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대기업으로 분류되는 300인 이상 사업체의 정규직 대졸 초임이 연평균 5001만 원으로 조사됐다. 전체 대졸 정규직 초임은 연평균 3675만 원이었다. 300인 이상 대기업이 평균 5001만 원, 300인 미만(1~299인) 사업체 3238만 원, 30~299인 사업체 3595만 원, 5~29인 사업체 3070만 원, 5인 미만 사업체는 2731만 원이 초임으로 파악됐다.
초과 급여를 포함하면 임금 격차는 더 벌어졌다. 초과 급여를 포함한 전체 대졸 정규직의 초임은 3810만 원이었다. 300인 이상 사업체 정규직은 5302만 원으로 5인 미만 사업체 정규직 2750만 원의 약 두 배에 달했다. 1~299인 사업체의 정규직은 초과 급여를 포함하면 3328만 원으로 대기업과 약 2000만 원의 임금 격차가 났다. 30~299인은 3735만 원, 5~29인 사업체는 3138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한국의 대졸 정규직 초임이 일본보다 높았다. 한일의 물가 수준을 반영해 실제 구매력을 기준으로 한 구매력평가기준(PPP) 환율을 적용한 결과 대졸 초임의 전체 평균은 우리나라가 4만 5401달러(PPP 환율 기준·약 3632만 원)로 일본의 3만 4794달러(약 329만 5000엔)보다 30.5% 높았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이에 대해 “우리 대기업의 고임금 현상은 연공형 임금 체계, 노조 프리미엄까지 더해진 결과”라며 “생산성에 비해 과도한 고임금은 지속 가능할 수 없으므로 일의 가치와 성과에 따른 합리적인 보상이 이뤄질 수 있는 임금 체계로 바꾸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