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국면 장기화에 지난해 12월 한국 주식과 채권시장에서 38억 6000만 달러(약 5조 6300억 원) 규모의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갔다. 특히 국내 채권의 경우 9개월 만에 순유출로 돌아서면서 13억 달러에 가까운 투자 자금이 이탈했다. 전문가들은 조속한 정치 안정만이 해외 투자자들의 탈한국 흐름을 진정시킬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 자금은 38억 6000만 달러 순유출됐다. 순유출은 한국 증권시장에서 빠져나간 외국인 투자 자금이 들어온 것보다 많았다는 뜻이다. 순유출 규모는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0년 3월(-73억 7000만 달러) 이후 최대다.
12월만 놓고 보면 주식이 25억 8000만 달러, 채권이 12억 8000만 달러 순유출이 이뤄졌다. 주식은 지난해 8월부터 5개월째 순유출이다. 문제는 채권이다. 11월(8억 1000만 달러) 순유입됐던 외국인 투자 자금이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지난해 3월(-33억 9000만 달러) 이후 9개월 만이다. 정치 불안에 국고채 만기 상환, 미국과의 금리 차이가 지속한 결과다.
전문가들은 정치적 불확실성에 외국인들의 채권 자금이 당분간 돌아오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남진 원광대 경제금융학과 교수는 “채권 만기 이후에도 한국 경제에 대한 불신이 더 쌓이면 외국인들이 채권 투자 비중을 더 줄이려고 할 수 있다”면서 “실제로 이런 포트폴리오 조정이 일어나면 원화도 약세 압력을 받는 등 악순환이 일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양준석 카톨릭대 경제학과 교수 역시 “채권 매도세가 일시적일 수는 있지만 순유입으로 전환될지는 국내 불확실성을 얼마나 빠르게 해소하는지에 달렸다고 봐야 한다”고 해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한국의 5년물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의 크레디트디폴트스와프(CDS) 프리미엄은 0.36%포인트로 지난해 10월(0.32%포인트)과 11월(0.34%포인트)을 거치면서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