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정책을 통한 보호무역주의와 관련해 은행권이 기업금융 포트폴리오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미국의 관세 도입에 따른 불확실성이 예상되는 반도체·자동차·2차전지 등 주요 수출 업종에 대해 모니터링을 진행하면서 업종별 대출 한도 조정이나 대출 조건 강화 카드를 꺼낼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주요 시중은행들은 올해 업종별 기업대출 한도를 설정하면서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에 따른 업종별 영향도를 반영했다. 다만 구체적인 관세정책의 방향성이 나오지 않은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직접적인 영향도를 분석해 필요시 포트폴리오 재조정에 나설 계획이다.
은행들은 업종별 상시 모니터링을 실시하면서 미국이 새로 도입되는 규제의 업종별 영향을 정밀하게 분석해 대응할 방침이다. 농협금융은 전날 모든 계열사의 최고위험관리책임자(CRO)와 리스크 실무 책임자가 참석하는 리스크관리 전략회의를 열고 자회사별 리스크 관리 계획을 집중 논의했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미국 우선주의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에 대비해 정밀한 산업 분석을 통한 리스크 점검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A은행 관계자는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반도체지원법(칩스법) 등 정책 변화에 따라 배터리·자동차·반도체·태양광 업종의 수익성 저하와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수익성 저하가 현실화되고 있는 업종이나 중장기 업황 악화가 예상되는 업종에 대해서는 취약 업종으로 선정해 보수적 익스포저(대출) 관리 정책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B은행 관계자는 “조선·기계 등 분야는 업황 전망을 상향한 반면 2차전지 등은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고환율과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에 따른 셈법이 복잡해 아직은 유망 업종과 피해 업종을 확실히 가려내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국회입법조사처에 따르면 ‘10% 보편관세와 60% 대(對)중국 관세 부과’라는 동일한 미국의 관세정책 시나리오를 두고도 대외정책연구원과 산업연구원의 총 수출액 감소 예상 폭은 각각 226억 달러, 92억 달러로 큰 차이가 났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수혜 업종과 피해 업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금융사들도 기업대출 부문에서 선제적으로 포트폴리오 재조정에 나설 수 있다”면서도 “자동차 같은 산업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호재로 볼 수 있지만 미국 시장에서 미국 자동차 회사들의 점유율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성급하게 판단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다만 시중은행들은 업종별 리스크 관리와 별개로 중소 수출입 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에는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부산은행 등 7대 은행은 한국무역보험공사와 협업해 금리는 낮추고 보증 한도는 높이는 ‘수출패키지 우대보증’ 등을 통해 올해 중소·중견기업에 100조 원의 무역보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환율 변동성에 취약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대상으로 지난해 말부터 특별대출 등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고환율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은행들은 자체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도 강화하고 있다. 외화 위험가중자산의 변동성이 높아진 데 따른 조치다. 국민은행은 본부 차원에서 진행되면 RWA 모니터링을 개별 영업점 단위에서도 관리할 수 있도록 조만간 체계를 개편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상반기 대출 만기가 도래한 기업 가운데 재무 성과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을 우선 대상으로 조기 신용평가를 진행하고 악화 예상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지정해 장기적으로 여신 한도를 축소한다는 계획이다. 농협은행은 추가적인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자산별 일일 RWA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한편 부서별 환율 변동 영향도 분석 및 미사용 한도 감축 등을 실시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