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2개월 연속 상승했다. 특히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 경기 변동에 취약한 업종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모습이다.
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11월 0.52%로 전월(0.45%)보다 0.04%포인트 상승했다. 전월인 10월 0.03%포인트 상승한 데 이어 2개월 연속 상승세다.
연체채권 정리규모가 늘었음에도 신규 연체 역시 같은 규모로 늘면서 연체율이 상승했다. 11월 신규 연체액은 2조 5000억 원,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2조 원으로 전월 대비 각각 3000억 원씩 증가했다. 신규연체율은 0.12%로 전월(0.11%) 대비 0.01%포인트 상승했다. 신규 연체율은 그 달에 발생한 신규 연체 발생액을 전월 말 대출 잔액으로 나눈 값으로 새로 발생한 부실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금감원은 “연체채권 정리규모가 증가했으나 신규연체가 동일한 수준으로 증가해 전월 말 대비 전체 연체율이 0.04%포인트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중소법인과 개인사업자의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기업대출 전체 연체율은 0.60%로 전월보다 0.04%포인트 올랐다. 이 중에서도 중소 법인과 개인사업자 연체율이 각각 0.04%포인트, 0.06%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대기업 연체율은 0.03%로 전월 대비 0.01%포인트 감소했다.
가계대출도 마찬가지다. 전체 연체율은 0.41%로 전월 대비 0.03%포인트 상승했지만 취약차주가 주로 찾는 신용대출 연체율은 0.06%포인트 뛰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02%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은 “코로나19 이전 10년 평균 연체율(0.78%)에 비해 여전히 연체율이 낮다”면서도 “향후 취약부문에 대한 충당금 적립 확대 등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고,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