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에 나서자 금융시장 정책 민감도가 높아질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여기에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 소비자들의인플레이션에 대한 선제적인 기대심리 변경이 불가피한 만큼 단기적으로 물가도 상승 압력을 받을 것이란 설명이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3일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1일(현지 시간) 펜타닐 등 마약 유입 및 불법 이민자 문제 등을 이유로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며 “4일부터 캐나다 에너지 제품에 10%, 그 외 모든 제품에 25%, 멕시코는 에너지류를 포함한 모든 제품에 25%, 중국에는 보편관세 10%가 시행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상대국들이 보복 조치에 나서며 관세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김 연구원은 “캐나다 총리는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1550억 캐나다달러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발표했으며 캐나다 일부 주에서는 미국산 주류 판매 중단 및 미국산 차의 통행료 2배 부과 등을 언급했다”며 멕시코 역시 보복 관세를 예고했으며 중국은 담화문을 통해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예고했다”고 짚었다.
트럼프발 관세전쟁은 물가를 거쳐 금융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백악관에서는 “이번 관세가 일부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있고 단기적인 혼란을 초래할 수 있지만 시장 반응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중장기적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며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유발 가능성이 낮다는 판단에서다.
다만 시장에서는 정책 민감도가 확대되며 관세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봤다. 특히 일반 소비자들이 관세가 물가에 전가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만큼 관세 부과 자체가 실제로 불러올 물가 상승 효과가 미미해도 중앙은행의 앵커링 효과처럼 단기적인 물가 상승 압력을 불러올 수 있다다는 게 김 연구원의 설명이다.
그는 이어 “미국 물가의 상방이 열려있다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 정책 경로가 또 다시 상향 조정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생겨날 수 있다”며 “트럼프 1기 때처럼 관세 부과가 일부 철회될 수도 있고 협상의 여지가 있긴 하지만 시장은 이미 연준이 인하를 점도표 만큼(연내 50bp) 해줄 것이라는 믿음이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충분히 정책 경로에 대한 불안이 생겨날 수 있는 환경이며 일시적으로 미국채 단기물에 대한 조정이 일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