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각 지방을 대표하는 중견기업 육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수도권 집중과 저출생·고령화 등으로 인해 인구 소멸이 가속화되는 비수도권에 ‘알짜 중견기업’을 키워 일자리를 확충한다는 전략이다.
5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지역 중견기업 생태계 구축 사업’ 연구 용역을 발주하고 지역 중견기업 육성 방안 마련에 나섰다. 산업부의 한 관계자는 “중앙정부에서는 고효율 연구개발(R&D) 지원이 전략·첨단 산업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지방정부에서는 기업 보호·유치 정책이 중소기업 위주로 이뤄지고 있어 지역 중견기업 지원은 축소되고 있다”고 육성 방안의 필요성을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현재 지방자치단체 내 중견기업 전용 지원 사업은 전무하다.
산업부 측은 “지역 중견기업의 경우 정보 전달 경로 약화, 협업 주체 발굴 한계 등으로 인해 신규 먹거리를 창출하거나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역 앵커(선도) 중견기업의 경쟁력 감소는 지역경제 위축, 지방소멸 가속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연결 고리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는 주요 지역 내 기업·산업을 재점검해 앵커 중견기업 성장 촉진 기본 계획 및 육성 정책을 개발하기로 했다. 지자체가 지역 내 유관기관 및 대학 등과 협력해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육성책을 마련·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공급망 생태계 역시 개별 기업 단위가 아닌 지역 단위로 꾸려 경쟁력을 집단적으로 제고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산업부 측은 “특히 인구 소멸 지역에 소재한 기업의 경우 기회발전특구 활용 및 기초·광역 지자체 간 지원·협력을 통해 지역 간 거래가 확대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3분기 내 연구 용역을 마무리하고 인구 감소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중견기업 육성 사업을 우선 실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 내 중견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인구 소멸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전북 임실, 충북 보은, 충남 서천 등이 주요 후보군으로 꼽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