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4월 초 맞춤형 상호관세를 세계 각국에 부과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가 “대응 전략을 모색해 대미 협의를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14일 산업부는 서울 강남 섬유센터에서 업종별 협·단체 및 경제단체를 대상으로 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박종원 산업부 통상차관보는 “2012년 발효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양국은 대부분의 수입품에 대해 상호 무관세를 적용하고 있다”면서도 “우리나라는 미국이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라고 말했다. 박 차관보는 그러면서 “우리의 비관세조치로 인해 상호관세가 부과될 경우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며 “관계부처 및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 대미 협의를 진행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은 무역 상대국이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뿐만 아니라 부가가치세와 같은 세금, 보조금, 환율, 불공정 관행 등 비관세조치까지 고려해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조치를 시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