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국내 가계빚이 전 분기보다 13조 원 증가한 1927조 원으로 다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2~3분기 부동산 급등기 대비 주택 매매가 줄고 금융 당국이 대출 관리에 나서면서 증가 폭은 축소됐다.
18일 한국은행은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가계 신용 잔액이 1927조 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 분기 말보다 13조 원 늘었다. 지난해 3분기보다 오름폭(18조 5000억 원)은 줄었지만 3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가계 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대부 업체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 신용)을 더한 포괄적 가계부채를 의미한다.
가계 신용 중 판매 신용을 뺀 가계대출만 보면 전 분기보다 10조 6000억 원 늘어난 1807조 원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이 지속해서 늘어난 영향이다. 지난해 4분기 주담대 잔액은 전 분기보다 11조 7000억 원 늘어난 1123조 9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증가 폭은 집값이 한창 오르던 지난해 3분기(19조 4000억 원)보다는 줄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지난해 3분기 가계대출이 크게 증가했지만 같은 해 9월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시행되고 이후 주택 매매가 줄어들어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됐다”고 설명했다. 한은에 따르면 수도권 주택 거래량은 지난해 3분기 7만 4000가구에서 4분기 4만 6000가구로 38% 줄었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주담대가 7조 3000억 원 증가했다. 다만 전 분기 주담대 증가 폭(22조 2000억 원)보다는 줄었다.
반면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 예금 취급 기관의 주담대는 같은 기간 7조 원 급증했다. 전 분기 증가 폭(9000억 원)의 7배가 넘는 규모다. 한은 관계자는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 주담대 금리가 오르자 대출 수요 일부가 비은행권으로 옮겨 붙은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전반적으로 가계빚이 증가 추세이지만 한은은 부동산 거래 감소에 당국의 대출 규제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향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한다.
또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하향 안정화 추세인 만큼 여전히 가계빚을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김 팀장은 “지난해 가계 신용은 연간 2% 증가했지만 지난해 1~3분기까지 명목 GDP는 전년 동기 대비 6% 성장한 만큼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3년 연속 하향 안정화될 것이 확실시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