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KAIST)의 학사과정 지원자가 설립 이래 처음으로 1만 명을 넘었다. 최근 의대 쏠림 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한 상황에서 많은 인재들이 여전히 카이스트의 문을 두드리는 것으로 보인다.
19일 카이스트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학사 지원자는 1만41명으로 지난해 8250명에 비해 21.7% 늘었다. 3년 전인 2023학년도(6238명)에 비하면 61% 늘어난 수치다. 카이스트는 “지난 3년간 학사 지원자는 61%(연평균 26.9%), 외국인 대학원 지원자는 64.5%(연평균 28.2%) 증가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원 과정 지원자 수도 2022년 5661명에서 2024년 6783명으로 증가 추세다. 이 중 외국인 대학원 과정 지원자는 1370명으로 2022년 대비 64.5% 증가했다.
KAIST는 이날 학사과정 입학생을 대상으로 대전 본원 대강당에서 2025학년도 입학식을 개최했다. 올해는 전체 지원자 중 총 799명이 선발됐으며, 카이스트는 대학원 중심 교육으로 1971년 개교한 이후 1986년부터 학부생을 선발했으며, 올해 신입생은 카이스트의 40번 째 신입생이다. 신입생 대표 연설을 맡은 백서윤씨는 "진정한 과학자는 답이 정해진 문제를 푸는 사람이 아니라 아무도 묻지 않은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라며 "그런 질문을 탐구할 수 있는 곳이 KAIST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민족사관고등학교를 졸업한 그는 이미 시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장치를 개발한 재원이다. 그는 해당 장치를 체험한 학생으로부터 "실제로 도움 됐다"는 말을 들은 뒤 새로운 도전을 이어가고자 KAIST 진학을 결정했다.
이광형 총장은 “진정으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KAIST에 지원자가 늘고 있어 매우 기쁘다”며 “신입생 여러분의 입학을 축하하며, 가슴을 뛰게 하는 것이 있다면 도전해야 한다. 5년 후 10년 후 20년 후에 복학해도 좋다. KAIST는 학생들의 모든 도전과 실패를 응원하고 포용하는 곳이다”라고 남다른 KAIST만의 메세지를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