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뷰티 스타트업들이 수출 국가 다변화 차원에서 중동으로 향하고 있다. 높은 구매력과 젊은 인구, 한류 인기로 인해 K뷰티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중동이 '기회의 땅'으로 부상하고 있는 모습이다.
2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K뷰티 이커머스 플랫폼 '마카롱'을 운영하는 블리몽키즈는 최근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오만 등 중동 6개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마카롱은 중동 국가 소비자들의 피부 타입과 메이크업 트렌드를 반영해 스킨케어와 선케어, 메이크업, 헤어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2000개 이상의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블리몽키즈는 인도 시장에서 경험한 마카롱의 성공 경험을 중동 지역에 이식하겠다는 계획이다. 마카롱은 K뷰티 브랜드들이 겪는 현지 '위생허가인증(CDSCO)' 문제를 해결해주는 방식으로 인도 시장 진출을 지원해 왔다. 자체 개발한 ‘AI 위생허가 시스템’을 통해 서류 검토와 오류 탐지 등을 자동화한 덕분이다. 블리몽키즈는 인도와 중동 시장 진출 시 갖춰야 할 서류의 유사점이 많다고 보고 있다. 이에 AI 위생허가 시스템을 중동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K뷰티 기업들에도 적용해 지원하겠다는 전략이다.
블리몽키즈 관계자는 “최근 K팝, K드라마 등 한류 열풍으로 인해 중동 지역에서 K뷰티의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으며 UAE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요가 높다”며 “중동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비건, 천연 성분의 제품과 기후 특성을 고려한 제품 라인업으로 카테고리를 다양화해 현지 소비자들을 공략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K뷰티 스타트업 딜리딜리는 사우디아라비아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딜리딜리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MISA)로부터 '기업가 화장품 무역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사우디에서 한국 창업자가 직접 라이선스를 취득한 첫 사례다. 딜리딜리는 이번 라이선스를 활용해 사우디 등 중동 여성의 피부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AI 기반 맞춤형 K뷰티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중동 여성 피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화장품 개발 △현지 유통 및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화된 플랫폼 구축 △한국과 중동을 연결하는 새로운 뷰티 생태계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K뷰티 역직구 플랫폼 ‘스타일코리안닷컴’을 운영하는 실리콘투(257720)도 지난 3월 UAE 내수 시장 공략을 본격 확대하기 위해 현지에 지사를 설립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실리콘투의 UAE 시장 누적 매출액은 약 250억 원 수준인 것으로 추산된다.
K뷰티 스타트업들의 중동 진출이 가속화되면서, 제조업자개발생산(ODM) 기업들의 지원 사격도 이어지고 있다. 한국콜마(161890)는 중동 화장품 시장 진출을 위해 세종공장과 부천공장에 각각 기초, 색조화장품 생산을 위한 '할랄 보증 시스템'을 구축했다. 코스맥스(192820) 역시 인도네시아에 할랄 인증 설비를 갖춘 공장을 운영하며 현지 소비자 수요에 맞는 맞춤형 화장품을 생산해 공급하고 있다.
K뷰티 업계 관계자는 "현지 소비자들의 피부 타입과 메이크업 취향을 반영한 제품 개발과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을 강화한다면 중동 지역에서 K뷰티의 시장 경쟁력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