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는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하자 “결정을 존중한다”며 이제는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을 위해 노력할 때라고 입을 모았다. 기업 경영에 가장 큰 리스크로 꼽히는 불확실성이 사라져 다행스럽다는 반응과 더불어 조속히 리더십 공백을 해소해 도널드 트럼프 2기 통상 대응에 힘써야 한다는 주문도 잇따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날 논평에서 “우리 경제는 내수 침체와 주력 산업의 경쟁력 약화, 미국의 관세 조치,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대내외적으로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했다”며 “엄중한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사회적 대립과 갈등을 넘어 국정이 조속히 정상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제계 역시 지속 성장을 위한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는 다짐도 더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이번 결정을 계기로 국론 분열을 해소하고 대한민국이 직면한 위기 극복을 위해 전 국민이 하나로 뭉치기를 희망한다”며 “경제계도 한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적극적인 투자와 고용 등 본연의 역할 수행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국민 모두 헌재의 결정을 겸허히 수용함으로써 그동안 탄핵 정국으로 야기된 극심한 정치·사회적 대립과 갈등을 종식하고 사회 통합과 안정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총은 정부와 국회를 향해 “여야를 초월한 협치의 리더십을 발휘해 주길 바란다”면서 “노사를 비롯한 모든 경제 주체도 사회 안정과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개별 기업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한국에 25%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해 위기감이 커진 상황에서 헌재 결정으로 한동안 지속됐던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것에 대해 안도했다. 재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결과와 상관없이 불확실성이 해소된 점은 기업에 긍정적”이라며 “어떻게 할지 몰라 지켜보던 상황도 이제는 마무리할 때”라고 전했다.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정치 리더십 공백으로 대미 통상 대응을 제대로 못한 상황에서 빨리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도 잇따랐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 부과가 확정됐지만 국가별 협상에 따라 바뀔 수 있고 반도체 보조금 같이 외교로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면서 “빨리 정국이 안정돼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 해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