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방문한 한국필립모리스 양산 공장. 약 7만㎡의 부지 위에 자리한 공장 내부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정교한 자동화 시스템이다. 사람의 손길은 사실상 없었다. 이 설비들은 24시간 내내 돌아가며 연간 400억 개의 담배 제품을 생산해낸다.
생산 공정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특히 말린 담배잎이 혼합·가공되는 ‘프라이머리’ 공정은 처음으로 외부에 공개됐다. 위생 및 보안을 위해 안전·위생모와 가운, 전용 신발을 착용한 뒤 들어서야 했다. 프라이머리 공장에선 불쾌한 담배 냄새가 아닌 건초 냄새가 풍겼다. 이 곳에서는 캐스트 리프라 불리는 담배 시트를 제조되고 있었다.
담뱃잎은 종이 형태로 가공돼 둘둘 말리고 있었다. 이 원료가 가공돼 담배 형태가 되고 완성된 담배 스틱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했다. 이후 세컨더리 공정에선 이를 스틱 형태로 가공해 필터와 조립하는 과정이 이뤄진다.
이 모든 과정은 실시간 품질 검사 시스템과 함께 자동으로 이뤄졌다. 특히 공정마다 다양한 품질 검사를 기준에 미달하는 제품은 즉시 라인에서 제거되고 있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자체 품질 실험실에서 최종 테스트가 진행된다.
양산공장에서는 불로 태우는 일반 담배(연초)가 아닌 가열하는 방식의 궐련형 전자담배가 주로 생산된다. 한국필립모리스가 국내에 선보인 비연소 제품 기기는 아이코스 일루마로 여기에 꽂아 가열해 흡입하는 '타바코 스틱'은 테리아와 신제품 센티아가 있다. 테리아는 18종, 센티아는 4종이 이곳에서 생산된다. 연소 담배인 말보로와 팔리아멘트 등도 함께 만들어진다. 전체 생산량의 3분의 1은 일본 등 12개국으로 수출되며, 나머지 3분의 2는 국내 시장에 공급된다.
한국필립모리스는 양산 공장을 거점으로 삼아 국내 흡연자들에게 유해 물질을 95% 줄인 비연소 제품 전환을 유도하고 지속적인 품질 혁신을 통해 ‘담배연기 없는 미래’를 현실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회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흡연자 5명 중 1명은 아이코스와 같은 비연소 제품을 이용하고 있다.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PMI)은 전세계 비연소 사업 순매출 비중이 작년 4분기 기준 전체 순매출의 40%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김기화 커뮤니케이션 총괄은 “글로벌 CEO가 앞으로 10~15년 안에 지역사회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협력해 준다면 일반 담배 판매를 완전히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강조했다.
작년 아이코스 연간 글로벌 매출은 약 110억 달러(15조 7500억 원)을 달성했다. 2023년 아이코스 글로벌 매출은 이미 말보로 매출을 넘어섰다. 한국 역시 전자담배 전환율이 20%에 달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