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비수도권 지역 소재 기술 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지자체와 손 잡고 투자 활성화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1일 경상북도, 전북특별자치도와 대전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 지역기술투자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지역기술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지난 1월 500억 원 규모로 결성된 제5-3차 연구개발특구펀드인 ‘영호남권 특구펀드’에 경상북도와 전북특별자치도가 각각 30억 원, 15억 원을 추가 출자하면서 지역 기술투자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의 적극적 투자 및 지원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정부와 지역이 협력하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과기정통부와 경상북도, 전북특별자치도는 연구개발특구펀드를 활용한 투자 및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 또한 민간 투자자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 기술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자금 지원과 기술사업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날 간담회에서 정부와 각 지자체는 연구개발특구펀드를 활용한 지역 혁신기업 지원 사례 공유, 지자체별 기술투자 촉진 전략 논의, 벤처캐피털의 지역 투자 확대 방안 등을 주요 의제로 다뤘다. 참석자들은 지역별 기술 사업화의 현황과 투자 유치의 어려움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하며, 향후 지속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은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성과혁신관은 “그간 연구개발특구펀드는 비수도권 지역에 집중적으로 투자(약 79%)해오며 지역의 유망한 창업기업 발굴‧성장을 견인해 왔다”며, “향후 과기정통부와 지자체의 지속적 협력을 통해 지역 맞춤형 투자로 펀드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통해 지역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