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공공기관과 기업의 암호 체계를 ‘양자내성암호’로 전환하는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국가 암호체계의 안정적 전환 준비를 위한 ‘2025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
양자내성암호는 기존 공개키 기반 암호보다 훨씬 복잡한 수학적 문제를 기반으로 해 양자 컴퓨터로도 해독이 어려운 차세대 암호 기술이다. 정부는 양자컴퓨팅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초래될 기존 암호체계에 대한 보안 위협 가능성에 대비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에너지, 의료, 행정분야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시작으로 주요 산업분야에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에따라 과기정통부와 KISA는 지난 1월부터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모를 진행했으며, 에너지 분야에 한전KDN 연합체, 의료 분야에 라온시큐어 연합체, 행정 분야에 LGU+ 연합체를 최종 선정했다.
한전KDN 연합체는 한국전력공사의 ‘전력 사용량 원격 검침 시스템’의 암호체계를 양자내성암호 체계로 시범 전환한다. 이를 통해 전국 가정의 중요 정보가 포함된 검침 데이터의 유출 및 위변조를 방지하고, 향후 추가적인 에너지 분야 인프라 시스템에 대한 양자내성암호 전환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라온시큐어 연합체는 ‘의료 데이터 중계 플랫폼’의 암호체계를 양자내성암호 체계로 시범 전환한다. 해당 플랫폼은 세브란스병원(신촌, 강남, 용인) 등에서 운영되는 전자 의무기록(EMR) 시스템과 연계되어 국민의 의료 정보를 중계‧처리하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이다. 정부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환경에 적합한 암호체계 전환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 연합체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 운영하는 ‘국가기술자격검정시스템’ 등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암호체계를 양자내성암호 체계로 시범 전환한다. 이를 통해 행정 분야 환경에 적합한 보안 기술을 확보하고, 향후 개발 솔루션을 확산하여 공공 서비스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시범사업을 통해 양자내성암호 전환 관련 실증사례를 확보하여 암호체계 전환에 필요한 모듈 개발,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상 문제점과 해결 방안, 실제 전환 절차와 방법론 등을 도출할 예정이다. 또한 결과물을 종합하여 산업 전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양자내성암호 전환 가이드라인’을 마련함으로써, 향후 전 국가적 양자내성암호 체계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환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