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 14년 만에 양수발전소 건설을 위한 첫 삽을 떴다.
한수원은 17일 충북 영동군 양강면·상촌면 일원 영동 양수발전소 건설 부지에서 착공식을 개최했다. 양수발전소는 남는 전기를 활용해 하부 댐에서 상부 댐으로 물을 끌어올리고, 전력이 부족할 때 물을 떨어트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다. 발전소 가동 3분 내로 전력 생산이 가능해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해주는 일종의 배터리 역할을 할 수 있다.
양수발전소 건설이 시작되는 것은 2011년 예천 양수발전소 준공 이후 처음으로, 이날 착공식에는 황주호 한수원 사장를 비롯한 주요 관계자, 지역 주민 등 350여 명이 참석했다.
국내 8번째 양수발전소가 될 영동 양수발전소는 2030년에 준공될 예정이다. 규모는 250㎿ 2기, 총 500㎿ 규모로 총 1조 3377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황 사장은 “영동 양수발전소는 국내 최초로 도입되는, 출력 조절이 가능한 가변속 양수발전소이자 한수원 최초의 양수발전소 건설 사업”이라며 “전력 인프라 구축을 넘어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국가 에너지 안보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