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권 대학 출신 구직자조차 심각한 취업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의 가장 큰 원인은 취업 장기화로 ‘1년 이상 장기 구직을 각오하고 있다’는 응답도 약 70%에 달했다.
상위권 채용 플랫폼 캐치가 20일 Z세대 구직자 198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취업 체감 난이도’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3%가 대입보다 ‘취업’이 어렵다고 답했다.
특히 응답자 중에는 ‘인서울’ 대학 출신 비중이 80%를 차지해 상위권 구직자조차 취업을 어렵게 느끼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 진입을 앞둔 청년층의 취업 체감 난이도가 매우 높은 상황으로 분석된다.
‘취업 준비 과정에서 불안이나 공포를 느낀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무려 97%가 ‘있다’고 답해, 대부분의 구직자가 큰 압박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감의 주요 요인으로는 ‘취업 장기화(52%)’가 압도적인 1위로 꼽혔다.
이어서 불안을 느끼는 요소로 ‘경기침체(14%)’와 ‘경제적 부담감(12%)’이 뒤를 이었고, 이외에도 △사회적 압박(7%) △진로 불확실(6%) △방대한 스펙 준비 요소(4%) 순으로 나타났다.
높아진 취업 장벽은 구직자의 취업 준비 기간에도 영향을 미쳤다. ‘최대 몇 년까지 취업 준비를 감수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9%가 ‘1년 이상’도 각오하고 있다고 답했다. 전공 별로는 2년 이상 구직도 각오하고 있다는 비중이 ‘문과’ 31%, ‘이과’ 26%로 나타나 전공별로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1년 이상 취업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하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그 원인을 물어본 결과,74%가 공고 부족, 경기 침체, 채용 시장 불안정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이 크다고 응답했다. 진로 불명확, 스펙 부족 등 ‘내부 요인’이 크다고 응답한 비중은 26%에 불과했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본부장은 “최근 경기침체로 어려운 기업 환경과 연이은 채용 감소 뉴스 등으로 역량이 준비됐다해도 취업하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며 “이런 환경 속에서 무력감이 커지고, 중간에 쉬는 청년도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큰 상황”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