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강협회 친환경에너지강재위원회가 풍력산업 공급망 강화를 위해 명칭을 ‘철강풍력위원회’로 변경하고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한국철강협회는 23일 올해 사업 계획과 예산 확정을 위한 이사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풍력산업 중심의 철강 신규 수요 창출과 공급망 강화에 집중하기 위해 친환경에너지강재위원회 명칭을 철강풍력위원회로 변경하는 안을 의결했다. 아울러 기존에 철강풍력위에 포함돼 있던 태양광 분과를 강구조센터로 이관했다.
철강풍력위원회는 올해 국내 풍력발전 산업 생태계에서 국산 철강재의 적용을 확대하기 위한 사업에 나선다. 풍력산업 공급망 강건화를 통해 철강 수요를 창출하고 풍력 기자재 및 구조물에 대한 표준·품질기준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 철강소재·플랜트 제작 협력을 통한 신성장 동력 마련에 나선다.
정부가 지난해 풍력발전 입찰 제도 로드맵을 발표하고 올해 2월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는 등 제도적 기반이 확충되면서 국산 철강재의 적용 및 풍력 산업 내 공급망 참여 기회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한국철강협회는 보고 있다. 김창수 한국철강협회 위원장은 “국내 풍력산업의 성장과 함께 국산 철강재의 전략적 적용 확대를 위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정부 정책과 보조를 맞추며 산업계의 실질적 수요 창출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 마련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철강풍력위원회는 POSCO, 현대제철(004020), 동국제강(460860), 세아제강(306200), 현대스틸파이프, 휴스틸(005010), 넥스틸(092790), 동양철관(008970), 동국S&C(100130), 창원벤딩 등 총 11개사가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확대 흐름 속에서 국내 철강 산업과 풍력 생태계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활동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