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와 수출 모두 크게 고꾸라지면서 올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역성장했다. 올해 첫 스타트부터 크게 미끄러지며 연간 성장률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문제는 나머지 분기에서도 반등 재료를 찾기 어려울 만큼 대외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는 점이다. 이 때문에 금리 인하에 가속도를 내야한다는 목소리도 커질 수 있어 한국은행의 고민이 깊어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2%로 집계됐다고 24일 발표했다. 분기 기준 역(-)성장은 지난해 2분기 -0.2% 이후 처음이다.
앞서 한은의 2월 경제 전망 당시 1분기 및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는 각각 0.2%, 1.5%였다. 그러나 단 두 달 사이 1분기 성장률이 -0.4%포인트나 고꾸라지며 올해 0%대 성장 가능성에 경고음을 울렸다.
올 1분기 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0.1%로 지난 전망(0.2%)과 비교하면 단순 계산으로 올해 전체 성장률을 0.3%포인트나 주저 앉힌 셈인데 나머지 3개 분기 모두 예측치보다 각각 0.1%포인트씩 성장률이 높아져야 당초 예상한 1.5% 성장률에 가까워진다.
문제는 1분기 성장률이 다른 분기보다 연간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이다. 미국 관세 불확실성 등 나머지 분기에서도 반등할 가능성이 제한적이라는 점이 한국 성장 전망을 더 어둡게 한다.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17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2월 전망은 너무 낙관적이었다”고 고백하면서 “1분기 성장 부진을 고려하면 올해 성장률도 지난 2월 전망치인 1.5%를 하회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1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수출은 화학제품, 기계 및 장비 등이 줄어 1.1% 감소했다. 수입은 에너지류(원유, 천연가스 등)를 중심으로 2.0% 줄었다.
민간소비와 정부소비는 나란히 0.1%씩 빠졌다. 건설투자는 3.2% 감소했다. 직전 분기 선방했던 설비투자 마저 2.1% 고꾸라졌는데 반도체 제조용 장비에서 크게 부진한 영향이다.
1분기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특히 내수 기여도가 -0.6%포인트로 마이너스(-)로 성장률을 크게 깎아내렸다. 이중에서도 건설투자(-0.4%포인트)·설비투자(-0.2%포인트)로 나타났고 민간소비와 정부소비 모두 0.0%포인트로 기록됐다.
그나마 순수출(0.3%포인트)가 플러스(+) 기여도를 나타냈지만 수입에 비해 수출 감소폭이 적은 영향이었다.
성장률이 당초 예상보다 나쁜 것으로 나오면서 오는 5월 기준금리 인하 요구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올해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에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될 수 있어서다. 다만 부동산 가격 기대가 여전한 데다 하반기 정부의 재정정책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한은의 정책 여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