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예년보다 이른 시점에 끝나고 무더위가 연일 계속되면서 전국에서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 환자가 속출, 작년 같은 기간보다 83%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통계를 보면 전날 하루 동안에만 전국에서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59명이다. 이 중 2명은 숨졌다. 질병청은 전북 전주와 경북 영덕에서 각각 1명씩 열사병으로 추정되는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질병청은 지난 5월 15일부터 전국 의료기관 517곳의 응급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운영 중인데 현재까지 온열질환자가 875명 발생했으며 이 중 7명이 숨졌다. 지난해 온열질환 감시를 시작한 5월 20일부터 발생한 환자는 859명으로 전년동기대비 83.2%(390명) 늘었다.
온열질환은 열탈진과 열사병이 대표적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제때 조치하지 않으면 의식 저하가 나타나면서 자칫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 올해 발생한 환자 중 54.6%가 열탈진이었고 열사병 20.1%, 열경련 13.7%, 열실신 9.8% 순이었다. 특히 65세 이상 어르신 환자가 전체의 3분의1 수준인 291명에 달해 노약자가 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낫다.
온열질환은 주로 무더운 날씨에 야외 작업장, 논밭 등에서 일하다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전날 기준 온열질환 발생장소는 야외 작업장이 25.6%로 가장 많았고 논밭 16.6%, 길가 14.1% 등이었다.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한낮에는 가급적 외출과 야외활동을 삼가고,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물을 자주 마시면서 체내 수분을 적절히 공급해 주는 게 좋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