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대해 25% 상호관세율 적용 방침을 공식 통보하면서 정부가 긴급 대응에 나섰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소폭이지만 민감하게 반응하자 정부는 과도한 시장 불안 시 즉각 대응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8일 오전 8시 30분 이형일 장관 직무대행 1차관 주재로 내부 시장점검회의를 열고 미국의 관세 조치와 금융시장 영향을 긴급 점검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국제금융센터와 기재부 내 관련 실·국이 참석했다.
이번 조치로 한국을 포함한 14개국 제품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율은 25%로 유지된다. 당초 이달 9일 발효될 예정이었으나 미국 정부는 상호관세 발효 시점을 내달 1일로 연장했다.
미국 정부의 관세 서한 발송 직후 뉴욕증시와 환율은 제한적이지만 변동성을 보였다. 8일(한국시간) 기준으로 S&P500 지수는 전일 대비 0.79% 하락했고, 달러인덱스는 0.4% 상승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도 3bp(0.03%포인트) 올랐다.
정부는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가 글로벌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향후 시장이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과 괴리돼 과도한 변동성을 보일 경우 즉각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조치할 방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향후 관세 부과 진행 상황에 따라 국내외 시장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는 만큼 관계기관과 긴밀히 공조하며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과도한 시장 불안에는 신속하고 과감하게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