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 쇄신위원회가 부당 대출을 뿌리 뽑기 위해 여신문화개선팀을 신설하기로 했다. 임직원 친인척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창구 직원들이 대출을 취급할 때마다 이해 상충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도록 제도를 바꾼다.
기업은행은 8일 쇄신위가 이달 초 4차 회의를 열고 임직원의 이해충돌 방지를 위한 16개 과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쇄신안은 3월 대규모 부당 대출 사건 이후 김성태(사진) 은행장이 발표한 내부통제 쇄신 계획을 구체화했다. 크게 △여신 프로세스 쇄신 △감시·감독 기능 강화 △조직 문화 개선 등 3개 부문으로 구성돼 있다. 정순섭 쇄신위원장은 “내부통제 체계 정비가 쇄신위의 첫 번째이자 마지막 목표였다”며 쇄신위 활동은 이달 초 종료된 만큼 쇄신안 이행은 기업은행 측에 맡겨졌다고 설명했다.
쇄신위의 권고를 바탕으로 기업은행은 이달 중순께 여신문화개선팀을 만들 방침이다. 해당 팀은 이상거래를 찾아내고 금융 사고 예방 절차를 고도화하는 역할을 맡는다. 기업은행은 “기존 감리·감사 체계와는 별개”라며 “여신 취급 과정에서의 내부통제 실효성을 제고하고 사후 관리까지 이어지는 유기적인 내부통제 체계를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해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정보도 수집한다. 부지점장 이상 임직원의 친인척 DB를 새롭게 구축하고 대출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고객의 동의를 얻어 수집된 가족 정보와 대조해 관계성이 발견될 경우 관련자는 여신 취급 전 과정에서 배제한다. 팀장급 이상 의사결정권자는 여신 취급 시마다 ‘이해 상충 예방 체크 리스트’도 작성해야 한다.
제3자의 눈으로 대출 과정을 이중 점검하는 장치도 마련된다. 기업은행은 이달 법률·금융 등 각 분야의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감사 자문단을 구성할 예정이다. 직원 교육 및 캠페인을 통한 조직 문화 쇄신 작업도 진행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