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공지능(AI) 기업들이 정부에 AI기본법 보완과 AI인프라 투자 확대를 요청했다. AI 기업의 해외 진출에 대한 지원 강화도 제언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서울 송파구 IT벤처타워에서 류제명 2차관 주재로 AI 산업계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유한주 네이버클라우드 디지털헬스케어랩장은 AI 기본법상 규제 완화를 요청했다. 그는 “오픈AI는 매일 챗GPT를 업데이트하고 있고 최근에는 음성인식 툴도 바꾸었는데 저희는 (규제 이슈로 인해) AI 모델을 업데이트할 때 한발짝씩 멈추고 있다”며 “AI기본법에 사후규제 원칙을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AI 기술을 개선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규제 리스크를 해소해달라는 얘기다.
AI 인프라 투자를 대폭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신정규 래블업 대표는 “인프라 투자에 서둘러야 한다”면서 “데이터센터에 대해 적어도 지금보다 10배 더 한다고 가정하고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AI 반도체와 관련해 국산 제품에 대한 우대가 있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조강원 모레 대표는 “현재 AI 반도체 인프라를 엔비디아가 독점하고 있어 소버린 AI 실현 관점에도 위험한 상황”이라며 “엔비디아가 아닌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등 업체 위주로 AI 인프라 정책이 마련되면 좋을 것 같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 정책이 되레 엔비디아에 AI 생태계가 종속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AI 3대 강국 달성을 위한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최근 중국 AI 기업들을 방문했는데 센스타임의 경우 GPU 2만장과 자체 데이터센터를 보유하며 집요하게 일하는 모습을 봤다”면서 “중국의 진짜 굴기가 느껴지며 두려움이 들었다”고 전했다. 임우형 LG AI연구원 상무는 “이제는 AI 모델 하나 잘 만든다고 AI 잘한다고 말하는 단계는 지나가고 있다”며 “국내 생태계에 안주하기보다는 미국, 유럽, 중국 등 해외로 진출해 글로벌 생태계에 자리를 잡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류 차관은 모두발언에서 “취임 뒤 첫 현장 방문으로 국가적으로 최우선 과제인 AI 분야 산업인들을 만나고자 했다”며 “우리나라가 자본력이 부족하고 인재 유출도 우려스러운 상황에서 기업과 정부가 하나된 팀으로 해결점을 찾아보자”고 제안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