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모넬라균, 캄필로박터균 등에 감염돼 식중독에 걸린 환자가 최근 한 달 사이 2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방역당국은 이들 수인성 감염병에 걸리지 않으려면 손을 깨끗하게 씻고 음식은 익혀 먹는 등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이 9일 전국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210곳이 참여하는 장관감염증 표본 감시를 집계한 결과 살모넬라균 감염증 환자는 6월 1주 66명에서 같은 달 4주 127명으로 늘어났다. 또 다른 식중독 원인균인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환자도 같은 기간 58명에서 128명으로 증가했다.
한 달 사이 증가폭이 각각 92.4%, 182%에 달한다.
살모넬라균 감염증은 계란액을 장시간 상온 방치한 뒤 섭취하거나 오염된 계란을 만진 후 손을 씻지 않고 식재료를 준비할 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계란 껍질 표면이 균에 오염된 경우가 많다. 캄필로박터균 감염증은 덜 익힌 육류(특히 가금류), 비살균 유제품,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섭취해서 감염된다. 특히 생닭 표면에 균이 존재할 수 있어 세척 등 식재료 준비 과정에서 감염 위험이 있다.
전수감시 대상 질병 가운데서도 장관감염병이 증가세였다.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환자는 올 6월까지 총 133명 발생했으며 이는 전년동기대비 30.4% 증가한 수치다. 비브리오패혈증은 지난 5월 10일 첫 환자 발생 이후 추가로 2명의 환자가 더 나타났다.
장출혈성대장균은 오염된 소고기·생채소류· 유제품 등 식품이나 물 등을 통해 감염되고, 사람 간에도 전파될 수 있다. 감염되면 심한 경련성 복통, 오심, 구토, 미열 등과 설사를 동반한다. 비브리오패혈증의 원인인 비브리오균은 해수, 갯벌, 어패류 등 광범위한 연안 해양 환경에서 서식하며 발병 시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따른다. 만성 간 질환자나 당뇨병, 알코올의존자 등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비브리오패혈증의 감염 및 사망 위험이 크다.
보건당국은 이 같은 감염병을 막으려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을 씻고,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물은 끓여 마시는 게 좋고, 채소나 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어 먹거나 껍질을 벗겨서 섭취하도록 한다. 2명 이상이 같은 음식물 혹은 물을 먹은 뒤 설사, 구토 등 증상을 동시에 겪으면 가까운 보건소로 즉시 신고해야 한다. 특히 올여름 평균기온이 평년을 크게 웃돌 것으로 보이는 만큼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질병청은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