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달 장기 연체 채권을 보유한 채무자들이 배드뱅크 매입 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전망이다. 금융 당국은 매입가율에 반발하는 대부업계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20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오는 9월 중 장기 연체채권 채무조정 프로그램 ‘배드뱅크’ 사업의 세부 방침을 발표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이 시점에 7년이상 5000만 원 이하의 채무를 가진 이들에게 배드뱅크의 매입 여부를 안내할 계획이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배드뱅크와 금융회사간 협약식을 체결한 뒤 채무자들에게 매입 대상 여부를 알릴 계획”이라며 “시점은 내달 말에서 10월 정도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채무자들은 오는 10월 부실 채권 매입이 본격 시작되기 전 사전 안내를 통해 불확실성을 덜 수 있게 됐다. 정부가 설립한 배드뱅크가 채권자가 되는 순간 채무자에 대한 추심 절차는 즉각 중단된다. 금융 당국은 수혜 인원을 약 113만 4000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금융 당국은 배드뱅크 참여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대부업계에 대한 정책 인센티브도 검토하고 있다. 정부가 제시한 연체 채권의 매입가율인 ‘액면가의 5%’에 대해 “지나치게 낮다”는 반발이 지속되자 달래기에 나선 것이다. 추심 등 회수를 목표로 연체채권을 25~30% 수준에서 매입해왔는데, 이를 5% 수준에서 되팔면 손해가 크다고 업계는 주장하고 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대부업체들이 보유한 연체 채권이 2조 원에 가깝다”며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정책 인센티브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부업계는 내부의 현장대책반을 가동해 업체들의 의견을 취합하고 있다. 업체들은 부실채권(NPL) 시장 재진입 요구가 크나 정부의 친서민 금융 정책 기조와 충돌할 수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시중 은행이 대부업체에 대한 여신을 취급해 자금조달 비용을 낮춰주는 방안도 거론된다. 대부업계 관계자는 “현재도 우수대부업자로 선정된 업체는 1금융권 차입이 가능하지만 은행들의 유인이 없어 논의의 장이 열리는 데서 그치고 있다”며 “업체들이 체감할 수 있는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드뱅크 운영의 주체가 되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배드뱅크가 사들일 연체채권의 매입가율 표준테이블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달 초 배드뱅크 운영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 설립을 마친 캠코는 이달 중 배드뱅크 명칭을 선정한 뒤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