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 소액결제 사태를 빚은 KT(030200)의 가입자 이탈 추세는 미미한 수준으로 파악됐다.
12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번호이동 통계에 따르면 사건이 언론에 처음 보도된 이달 4일부터 전날까지 KT에서 다른 통신사로 이동한 고객은 1만8387명으로 집계됐다. SK텔레콤(017670)과 LG유플러스(032640)에서 KT로 같은 기간 온 고객 1만8167명을 고려하면 가입자의 순감 규모는 220명에 불과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각각 182명과 38명 순증했지만 이동통신 3사가 평소 하루 수십∼수백 명 단위로 가입자를 주고받는 점에서 편차가 크다고 보긴 어렵다는 평가다.
특히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고가 발생한 4월은 양상이 달랐다. 사건이 알려지고 불과 며칠 뒤 일일 순감 인원이 2만∼3만명씩 발생했으며 5월 한 달 동안 33만명이 넘는 고객이 이탈하는 이례적인 현상이 나타났다.
이번 사건에서 이탈이 제한적인 데에는 피해 범위가 수도권 특정 지역에 집중돼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지역은 현재 서울 금천구와 경기 광명·부천 등이다. 서울 서부지역 또는 인근 지역인 셈이다. KT에 따르면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으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유출된 고객 수는 5561명이다. 해당 기지국 2곳의 신호를 수신한 전체 고객은 1만9000명인데 상당수는 단순 접속자로 분류됐다.
잇따른 해킹 사고로 경각심이 무뎌진 점도 한몫했다. SK텔레콤 사태로 불안감이 고조됐지만 잦은 보안 사고에 피로감이 누적돼 이번에는 위기의식이 덜하다는 분석이다.
다만 향후 당국 조사에서 KT 사태의 피해 규모가 커지거나 개인정보의 추가 유출 정황이 드러날 경우 여론이 악화해 뒤늦게 가입자 이동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울러 SK텔레콤 사태 때처럼 위약금 면제 조처가 내려진다면 이탈 폭은 더 커질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