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 후속 협의가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관세 협상에서 약속한 미국 조선업 부흥을 위한 인력 양성 프로그램 신설에 나선다. 미국 조선업 현대화 방안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에 시동을 건 것이다.
21일 정부에 따르면 내년도 산업통상자원부 예산안에 ‘한·미 조선해양산업 기술협력센터’ 사업 예산이 포함됐다. 규모는 66억 4400만 원으로 지난달 29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예산 배정은 7월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에서 우리 정부가 미국에 제안한 마스가에 따른 것이다. 당시 우리 측 협상단은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25%를 낮추기 위해 3500억 달러(약 486조 원)의 대미 투자 패키지를 제시했다. 이 중 1500억 달러는 마스가에 배정됐다. 덕분에 미국은 한국산 제품에 상호관세를 15%만 부과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한·미 조선해양산업 기술협력센터 사업에 따라 내년 예산에 ‘마스터스 아카데미’ 운영 사업을 넣고 전체 예산의 절반이 넘는 34억 5000만 원을 배정했다. 미국에 선박 설계 실무 교육, 야드 생산 컨설팅, 기능장급 전문가 파견 등을 통해 조선 관련 용접 등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우선 내년에 100명 규모의 수료생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마스터스 아카데미 운영은 HD한국조선해양 등 국내 대형 조선사가 주도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전해졌다.
또 나머지 예산인 21억 4000만 원은 미국 조선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총괄할 한-미협력센터 운영에 8600만 원은 관련 동향 분석 및 현지 네트워킹에 배정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과의 조선 협력 관련 현지 수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우리 기업의 대미 투자와 현지 진출 지원을 위한 미국 현지 거점 마련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