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발 관세로 피해를 입는 기업들을 만나 “정부 지원 정책을 몰라 활용하지 못하는 기업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22일 서울 서초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서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기업 간담회를 주재하고 이 같이 밝혔다. 김 장관은 “미국이 반도체, 의약품에 대해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등 수출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며 “현재 미국 측과 금융 패키지 세부 방안 등에 대해 긴밀히 협의 중이나 협의 상황이 녹록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 합동 관세 대응 창구로 자리잡은 ‘관세대응 119’를 ‘관세대응 119 플러스’로 확대 개편하고 현장의 애로를 신규 서비스, 정책으로 연계하는 환류 기능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관세대응 119 플러스는 앞으로 △미 정부에 대한 수출기업 관세 애로 의견서 제출 지원 △미국 관세청 사전심사제도(CBP E-ruling) 신청 컨설팅 △미국 세관의 사후 검증 요구자료 대응 △철강 함량 가치 산출 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철강 파생상품 기업을 위해서는 미국 현지 전문가가 상시 일대일 상담을 해주는 서비스도 운영하기로 했다.
김 장관은 또 “9월 초 발표한 5700억 원 규모 지원과 긴급 할당관세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추가 지원방안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