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자살 사망률이 2011년 이후 13년 만에 역대 최대치를 나타냈다. 특히 40대 사망 원인 1위가 암을 제치고 자살로 집계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고의적 자해로 인한 자살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29.1명으로 전년보다 1.8명(6.6%) 늘어나 2011년(31.7명) 이후 13년 만에 가장 높았다. 자살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를 뜻한다. 전체 자살 사망자 수도 1만 4872명으로 전년 대비 894명(6.4%) 증가해 2011년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자살률 역시 한국이 1위를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30대와 40대 자살률이 전년보다 각각 14.9%, 14.7% 늘어나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50대에서도 12.2% 증가했다. 특히 40대 사망 원인 1위는 그동안 암이었는데 지난해 처음으로 암을 제치고 자살이 1위로 올라섰다. 반면 70대(-8.7%)와 80세 이상(-10.3%)에서는 감소세가 나타났다. 경제 활동과 가족 부양 부담이 집중되는 30~40대에서 자살이 급증한 것은 사회 안전망의 한계를 드러낸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박현정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40대 같은 경우 경제적인 상황이나 정신적 상황 그리고 신체적인 상황들에 대한 부분이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빠른 고령화율로 치매로 인한 사망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3.9명으로 전년 대비 2.2명(10.3%) 늘었다. 박 과장은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는 있고, 알츠하이머가 여성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어서 (앞으로도) 이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 수는 35만 8569명으로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주요 사망원인으로는 암, 심장질환, 폐렴이 3대 사인으로 가장 많았고 비중이 전체의 42.6%를 차지했다. 10대 사망원인 중 간 질환이 11위에서 9위로 순위가 상승한 반면 패혈증은 9위에서 10위로 1단계 순위가 내려갔다. 10년 전에 비해 폐렴, 알츠하이버, 고혈압성 질환 순위가 상승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