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케데헌만큼 중독적일까”…파리바게뜨X케데헌 빵 먹어보니 [신상 언박싱]


하루하루 쏟아지는 수많은 유통·식품업계의 신상품 중 서울경제신문 생활산업부 기자들이 직접 매장에서 ‘내돈내산’한 가장 핫한 신상품을 한자리에서 먹어보거나 이용해보고 후기를 전달드립니다. <편집자 주>

파리바게뜨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 협업 제품. 곶감 파운드(왼쪽부터), 골든 버터번, 골든 소보루번, 제주쑥 오메기빵. 노현영 기자




넷플릭스 인기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빵으로 돌아왔다. 파리바게뜨가 이달 선보인 협업 제품은 영화 속 캐릭터와 세계관에서 영감을 얻은 케이크·빵 10여 종. 이중 기존에 있던 제품을 리뉴얼한 ‘골든 버터번’, ‘행운의 단팥빵’, ‘치즈가 부드러운 시간’을 제외하고 신규 제품인 ‘곶감 파운드’, ‘골든 소보루번’, ‘제주쑥 오메기빵’을 이번 신상 언박싱에서 직접 맛봤다. 화려한 비주얼을 자랑하는 포장만큼 맛도 만족스러울까. 가격, 맛, 재구매 의사까지 꼼꼼하게 비교해봤다. 아래는 별점 평균치 (5점 만점).



파바 곶감파운드 (16900원)



노현영 기자


■식탐대가(앉은 자리에서 과자 한 봉지 순삭하는 디저트킬러. 단짠을 사랑하는 맵찔이)

토핑을 아낌없이 넣었다. 그런 만큼 가격도 아낌없이 비싸다. 파운드케익류를 좋아하지만 견과류를 선호하지 않는 나로서는 또 사먹을 것 같지는 않다. 견과류와 계피향을 좋아하는 사람들 입맛에는 잘 맞을 것 같다. 곶감파운드가 상품명인데 정작 곶감말랭이보다는 견과류가 더 많다. 패키지에 그려진 더피는 귀엽다.

■민초지킴이(매운 것도 단 것도 좋아하지만 ‘너무’ 맵거나 단 건 극혐하는 입맛. 단 거나 느끼한 걸 먹은 뒤에는 매운 걸 반드시 먹어야 한다.)

'곶감'이라는 이름 때문에 기대가 컸던 탔일까. 곶감은 사실 느끼지 못했고 달다는 느낌이 강했다. 맛은 나쁘지 않았지만, 가격을 보고 나니 내가 물가를 체감을 못하는 건지, 아니면 이게 너무 사악한 가격인 건지 의문이 다시 한번 들었다.

■단짠러버(퇴근길 단 음식을 때려넣고 이어 짠 음식을 찾아 먹는다. 단 걸 먹고 나면 짠 음식이, 짠 걸 먹고 나면 꼭 단 게 당긴다. 단짠단짠 먹고 늘 후회를 반복.)

파리바게트에서 나온 ‘케이팝 데몬 헌터스’ 신상 빵은 포장지만 케데헌과 관련 있을 뿐, 영화 속 장면들과 제품이 크게 관련이 없다. 그래서 더 맛이라도 좋아야 한다는 기대가 높았다. 가장 맛있었던 제품은 곶감파운드였다. 파운드 케이크가 보통 팍팍한 식감이 강해 선호하지 않는데 이 제품은 달랐다. 곶감이 들어 있어 적당히 씹는 맛과 적당히 단맛이 조화를 이뤘다. 곶감 덕에 느끼하지 않아 평소 먹는 것보다 더 먹을 수 있었다. 다만 곶감을 싫어하는 사람에게는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릴 수 있을 것 같다.

■컨츄리가이(과자는 내 돈 주고 사먹지 않음. 베이커리류도 마찬가지인데 유일하게 돈 주고 사먹는 디저트는 베이글. 필라델피아 크림치즈(!)에 베이글 조합이 최상. 과자는 먹어야 한다면 감자칩을 먹겠음)

케데헌과 무슨 상관이 있는지 모르지만 루미를 사랑하는 까닭에 긍정적인 마음으로 시식을 시작했다. 사실 이 빵은 곶감이랑 무슨 상관인지 잘 모르겠다. 이 빵을 케데헌 영화에서 실제 루미가 먹었다 하더라도, 먹을수록 그녀가 맛있게 먹었을지 의심이 간다. 루미는 이런 빵을 좋아하지 않을 것 같다. 나도 그렇다.

■스몰이터(엽떡 5단계만 주문할 정도로 매운 음식 러버. 빵과 디저트는 초코 맛을 좋아하고, 전체적으로 달면 다 맛있다고 느낀다. 다만 입이 짧아 많이 먹는 편은 아니라서 외국인 친구가 ‘스몰 이터’라는 별명을 붙여줬다.)

촉촉하고 달달한 파운드케이크. 계피 맛이 은은하게 나고, 견과류가 조금씩 씹혀서 씹는 맛이 있다. 손님용으로 대접하기 좋은 빵이나, 혼자서 사먹기엔 가격도, 양도 부담스럽다.

■꿈꾸는미식가(직관적인 맛을 좋아하지만 음식의 레이어를 찬찬히 음미하려고 (나름) 노력함. 먹을 게 눈 앞에 있으면 아무리 배불러도 입안에 가져감. 밥보단 빵. 고수 좋아 코코넛 좋아!)

세 개의 빵 중에 가장 맘에 든 제품이다. 곶감 맛이 아닌 계피 맛이 더 진하게 느껴지지만 기분 좋아지는 디저트로 손색이 없다. 다만 파운드 특유의 촉촉함은 느껴지지 않는다. 할매 입맛이라면 추천한다. 구매가 망설여지는 가격이 흠.

골든 소보루번 (2500원)



골든 버터번(왼쪽부터), 골든 소보루번, 제주쑥 오메기빵. 노현영 기자


■식탐대가

이번에 시식한 파리바게트 제품들 중 가장 내 입맛에 잘 맞았다. 기존 소보루빵보다 단맛이 강했지만 멈출 수 없었다. 기존 소보루보다 촉촉한 느낌이 있었는데 그게 치즈 영향이라는걸 나중에 알았다. 매우 부드럽고 달콤하다. 2500원이란 가격도 합리적이다.

■민초지킴이

3가지 빵 중 이 아이가 가장 좋았다. 기존 소보루빵에 비해서 단맛이 강하다는 생각이 들긴 했지만, 단 빵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충분히 좋아할 것 같다. 2500원이라는 가격도 나쁘지 않았다.

■단짠러버



골든소보루번은 소보루빵에 치즈맛이 더해진 제품이었다. 치즈를 좋아하는 소비자라면 소보루빵이 더 맛있게 느껴질 수 있다. 치즈의 고소한 단맛이 더해졌다. 일반 소보루빵은 빵 안에 크림이 없어 먹다 보면 목이 막히는 느낌을 받는데 이 빵은 그런 게 없어서 좋았다.

■컨츄리가이

그냥 소보루였다. 아무리 루미를 생각해도 이게 왜 케데헌이랑 합작한 부분인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뭐 요새 누구나 다 어떻게든 케데헌이랑 엮어서 상품을 팔려고 하니 이해해야 하는 부분인 것인가. 그렇다면 나도 앞으로 기사에다가 케데헌 이미지를 붙여야 겠는 걸.

■스몰이터

카라멜 맛은 거의 느껴지지 않지만, 달달한 소보루빵 맛이 난다. 특히 소보루 가루에서 단 맛이 강하게 느껴진다. 수분이 조금 날아간 듯한 식감은 아쉽다. 그래도 적당한 가격대의 간식 대용으로 괜찮을 것 같다.

■꿈꾸는미식가

소보루빵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지만 소보루빵에서 가장 좋아하는 겉면의 오독오독함이 잘 안 느껴졌다. 기존 소보루빵과 뭐가 다른가 봤더니 카라멜이 새로 첨가됐는데, 카라멜 팝콘처럼 좀 더 바삭한 식감이 살았다면 어땠을까 아쉬웠다. 조금 퍽퍽하다.

제주쑥 오메기빵 (3700원)



■식탐대가

빵이라기보다는 떡에 가깝다. 제주 오메기떡이 연상되지는 않지만, 쫀득한 피에 팥을 아낌없이 넣었다. 통팥이 씹히는걸 선호한다면 추천. 한 끼 식사 대용으로 충분한 칼로리와 식감이지만, 가격은 안 훌륭하다. 쿠키처럼 생긴 빵 하나에 3700원을 쓸 바엔 편의점 햄버거를 사 먹을 것 같다.

■민초지킴이

빵이라기 보다는 떡이라는 느낌이 훨씬 강했다. 차라리 진짜 떡이었으면 쫄깃한 맛이라도 있었을텐데, 이건 다시 뻑뻑하다는 느낌이 좀 더 강했다.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가격. 3700원이라니. 아무리 요새 물가가 올랐다지만 이건 너무 사악한 가격 아닌가. 그나저나 3종이 모두 케데헌 컬래버인데 너무 컬래버 특징을 못 살린게 아닌지.

■단짠러버

제주쑥오메기빵은 오메기 떡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추천하고 싶지 않다. 빵을 먹으면 오히려 오메기 떡이 더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떡에서 맛볼 수 있는 쫀득함이 빵에서는 구현되지 않았다. 개인적으로 쑥은 떡에 잘 어울리는 반면, 빵에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도 들었다.

■컨츄리가이

일단 오메기빵은 속이 풍부한 것이 좋았다. 나는 앞서 다른 평가에도 말한 적이 있는데 빵을 잘 모른다. 솔직히 남은 인생 동안 알 것 같지도 않다. 오메기빵은 빵부분도 어쩐지 떡 같았다. 하지만 오메기떡이 더 맛있겠는 걸…

■스몰이터

쑥의 맛과 향이 강한 오메기빵. 떡처럼 쫄깃한 빵이 특징이다. 한국적인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오메기빵을 선택한 것 같기는 하나, 또 찾을 만큼 맛있지는 않다. 떡과 빵의 경계를 노린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럴거면 진짜 오메기떡을 사먹지'라는 생각이 들게 하는, 특별할 것 없는 맛과 가격.

■꿈꾸는미식가

오메기떡이라 해도 믿을 것 같은 제품이다. 쑥의 향과 맛이 잘 느껴져 가장 잘 개발된 제품이 아닐까 싶다. 쫀득쫀득한 식감도 잘 살렸다. 추석 때 할머니 할아버지 선물로 사드리면 굉장히 좋아하실 것 같은 빵.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