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화려한 강사진·실속있는 강의…도슨트학교 2기 모집
Pick2025.04.0111:11:37
“도슨트의 기본기를 다지고, 미술관 도슨트로 활동한 기회도 차지하세요!“ 서울경제신문이 사단법인 서울특별시미술관협의회(이하 서미협)와 공동으로 전시 해설사 육성을 위해 주최한 ‘서울시미술관 도슨트학교’(이하 도슨트학교)가 2기 모집을 7일까지 진행한다. 지난해 하반기 1기를 배출한 도슨트학교는 미술관 해설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 과정으로, 이론과 실습을 아우르는 커리큘럼을 갖췄다. 이번 2기는 주 1회씩 총 15회 수업으로 구성되며, 자격검정 평가를 위한 3회의 실습 수업도 포함돼 있다. 대부분 강좌는 직장인 수강생
"도슨트의 꿈 이루세요!"…도슨트학교 2기 모집
Pick 2025.03.31 13:23:17
“미술 관련 전공자는 아니지만 해외 여행이나 출장을 가면 그 나라 미술관을 찾아다니는 데서 행복을 느꼈습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전시를 가기 전에 작품과 작가에 대해 미리 공부하게 됐어요. 점차 내 아이 뿐만 아니라 관람객 누구에게나 감동과 새로운 힘을 줄 수 있게 돕는 ‘도슨트’가 되고 싶은 마음이 커졌습니다. 은퇴 후 자원봉사로만 여겼던 도슨트가 전문적인 전달자로 활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했고 ‘도슨트
현대미술, 먼 얘기가 아니다
작가 2025.03.26 17:16:31
‘현대미술은 어렵다’는 인식은 여전하다. 거대한 담론, 낯선 용어, 천문학적인 가격…대중은 현대미술을 ‘먼 세계’로 느낀다. 미술평론가이자 전시기획자로 활동하는 조숙현이 예술에세이 ‘가까운 미술’을 쓴 이유다. “정작 우리 곁에 있는 작가들에 대해, 왜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나요?”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기도 하다. 저자는 2009년 겨울, 미술전문 월간지의 기자로 첫발을 디딘 이후 십 수년 간 현대미술의 현장을 가
  • [조상인의 예(藝)-<19>김기창 '투망'] 한가로운 산촌...천렵하는 아이들...천재화가가 꿈꾼 '이상향'
    작가 2017.07.07 15:43:15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즐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이 아마도 이쯤 아니겠나. 시인 정지용(1902~1950)이 대표작 ‘향수’를 통해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읊조리던, 애틋한 꿈에서 깨기 싫어 지그시 눈감게 한 그 풍경이 여기 있다. 딱 요맘때 초여름 날씨인 듯 짙푸른 녹음이 산과 논을 가른다. 운보 김기창(1913~2001)의 그 유명한 ‘청록산수’ 중 하나인 1981년작 ‘투망’이다. 화가는 가장 좋아하는 색인 청록을 중심으로 화면의 반 이상을 산으로 채
  • [조상인의 예(藝)-<18>신윤복 '풍속도 화첩'] 눈썹달 내리비친 야밤의 여인 '월하정인'
    작가 2017.06.30 16:19:31
    단원 김홍도(1745~1806년 이후)는 주로 남자를 그렸고, 혜원 신윤복(1758~생몰년 미상)은 여인을 많이 그렸다. 단원의 호방한 필치가 남성적이라면 혜원 신윤복의 섬세한 붓질엔 여성적이라는 평이 따른다. 오죽했으면 신윤복을 여장남자로 설정한 드라마가 방송됐을 정도다. 굳이 둘의 풍속화를 나누고 비유하자면 김홍도의 그림은 백자, 신윤복의 그림은 청자 느낌이 아닐까 한다. 투박하게 만든 듯하지만 장인의 노고가 짙은 백자는 손으로 쓰다듬고 싶고 편히 옆에 둘 만하다. 반면 정교한 기법과 화려한 장식으로 한껏 멋을 낸 청자는 보고
  • [조상인의 예(藝)-<17>김홍도 '풍속도 화첩'] 가벼운 필치로 쓱쓱...익살·정감 넘치는 士農工商의 일상
    작가 2017.06.23 17:52:55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하게 닮았지만, 불행한 가정은 불행한 이유가 각각 다르다.’ 레프 톨스토이는 그 유명한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첫 장을 이렇게 시작한다. 행·불행의 여부는 차치하고, 별스러울 것 없는 일상의 희로애락은 예나 지금이나 엇비슷하다는 게 맞는 말 같다. 수확의 기쁨은 다소간 고된 몸도 힘을 내게 하고, 흥미진진한 씨름판은 좌중의 눈을 끌어모으며, 신명 난 무동의 춤사위는 보는 사람까지 어깻짓 하게 만든다. 톨스토이가 ‘안나 카레니나’ 한 편에 150여 명 등장인물을 집어넣어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 [조상인의 예(藝)-<16>신라 금동반가사유상] 슬픈듯 웃는듯...온화한 미소 속에 담긴 깊은 사유
    작가 2017.06.16 15:43:54
    프랑스 루브르미술관에 걸려있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는 작은 그림이지만 속내 모를 오묘한 미소로 마법을 부려 관람객을 붙든다. 어디를 보고, 왜 웃는지, 웃고 있기는 한 건지, 만족한다는 뜻인지 유혹하겠다는 것인지 종잡을 수 없다. 연애 시작하는 사람 마냥 그 속을 알고 싶어 안달 나고 또 보고 싶게 만든다. 또 다른 명작인 오귀스트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은 원래 ‘지옥의 문’의 한 부분으로 만들어진 시인(詩人)이었으나 따로 떼 크게 제작됐고, 지옥에 몸을 던질지 고심하는 인간의 실존을 탁월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조상인의 예(藝)-<15>탄은 이정(下) '풍죽'] 거센 바람에 홀로선 대나무, 당당한 君子의 기개가...
    작가 2017.06.09 16:09:16
    의지할 데 없는 대나무가 세찬 바람을 앞에 홀로 맞서고 있다. 뒤에 선 대나무는 휘청이는 몸을 가까스로 뿌리에 의지했다. 파다닥거리는 댓잎에서 바람의 기세가 느껴진다. 뒤로 젖힌 이파리는 찢어질 듯 위태롭다. 애초 자리 잡고 뿌리 내린 곳이 거친 바위틈이었으니 누굴 탓하겠는가, 이것이 대의 숙명인 것을. 한국 회화사를 통틀어 최고의 묵죽(墨竹) 화가로 평가받는 이정(李霆·1554~1626)의 대나무 중에서도 단연 으뜸으로 손꼽히는 ‘풍죽(風竹)’이다. 그림 속 대나무는 총 네 그루다. 담묵(淡墨)으로 희미하게 그려 이리
  • [조상인의 예(藝)-<14>탄은 이정(上) '삼청첩']검은 비단위 금빛 죽순..세파 뚫은 고고함 고스란히
    작가 2017.06.02 19:02:28
    껍질을 뚫고 나온 죽순(竹筍)에서 승천하는 용의 기세가 느껴진다. 그림 한 폭에 대나무의 생애가 모두 담겼다. 화면 맨 오른쪽이 갓 나온, 그래서 제일 야들야들한 죽순이다. 보통의 나무들은 커가면서 일 년 치씩 나이테를 만들지만, 죽순은 껍질을 벗으며 대나무 마디, 즉 죽간(竹幹)의 형태를 잡아간다. 죽순 시절의 껍질을 늘어뜨린 두 번째 대나무는 그 성장해 가는 과정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그리하여 추위가 몰아쳐도 홀로 꼿꼿함을 지키는 세한고절(歲寒孤節) 대나무의 틀을 잡아간다. 돋아난 댓잎이 싱싱한 전성기 대나무보다 실상 더 아름다
  • [조상인의 예(藝)-<13>겸재 정선 '풍악도첩'] 36세 겸재의 기백 담은듯...수정처럼 치솟은 금강산의 산세
    작가 2017.05.26 17:20:50
    우리 산천의 아름다움을 한껏 자랑한 조선의 두 정(鄭)씨가 꼽히니 하나는 ‘관동별곡’으로 국문학사를 가로지른 정철(1536~1593)이요, 또 하나가 국보 제217호 ‘금강전도’를 그린 겸재 정선(1676~1759)이다. 1711년 신묘년 가을, 서른여섯의 정선은 처음으로 금강산에 올랐다. 그는 평생을 두고 세 번 이상 금강산을 직접 다녀온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 그림을 그리던 때가 첫 금강산 여행이라는 게 학계 중론이다. 말로만 듣던 금강산의 풍광을 실제로 접한 정선은 대각선으로 양분한 과감한 화면에 그 흥과 감격을 표현했다. 금
  • [조상인의 예(藝)-<12>하종현 '접합'] 벽을 뚫고 나온 땀방울...흙빛 마대를 빛내다
    작가 2017.05.19 17:35:40
    키를 훨씬 웃도는 벽을 맞닥뜨렸다. 그것도 앞뒤 좌우가 꽉 막혀 오도 가도 못하는 벽이다. 어떻게 해도 벗어나지 못할 벽 같은 막막한 느낌은 삶 속 여기저기에 도사리고 있다. 뛰어넘기는 버겁고 깨부술 엄두도 나지 않는다. 하종현(82)의 그림은 그 암담한 벽을 뚫는 기분이다. 세계적 미술 명문인 시카고아트인스티튜트(SAIC) 박물관이 소장한 그의 1979년작 ‘접합(Conjunction) 79-31’을 접한 첫인상은 새벽에 소복이 맺힌 이슬 같았다. 동글동글 작은 물감 알갱이들이, 어릴 적 뛰놀던 앞마당 흙을 퍼담아 놓은 듯한 화판
  • [조상인의 예(藝) -<11>장욱진 '가족도'] 고달픈 삶…그 안식처는 '가족'
    작가 2017.05.12 22:19:20
    유학 등 불가피한 이유로 가족들을 멀리 보내고 홀로 남아 생계를 책임지는 ‘기러기 아빠’가 일상어로 쓰이기 훨씬 전, 일찍이 ‘까치 아빠’를 자처한 이가 있으니 바로 화가 장욱진(1917~1990)이다. 통도사 암자 앞에서 만난 스님이 “뭐 하는 사람이오?” 묻자 “까치 그리는 사람”이라며 선문답을 주고받다 ‘비공(非空)’이라는 법명을 받은 일화에도 등장하듯 장욱진은 까치를 즐겨 그렸다. 까치 혹은 참새로도 보이는 줄지어 나는 4마리 새를 두고 부부와 두 아이, 혹은 네 명의 딸이라는 등 해석이 분분하지만 꼭 누구를 몇이나 그린 것
  • [조상인의 예(藝) -<10>이중섭의 황소] 일어나라 일어나라...'힘찬 소'에 담은 민족의 기상
    작가 2017.05.05 16:54:47
    일어나라. 다시 일어나라. 단단한 발로 굳은 땅을 밀어내라. 그러면 너는 우뚝 설 수 있다. 두 무릎에 힘을 주고 머리를 들어라, 황소여. 달려라, 너의 새로운 한 발짝이 새 시대의 시작이다. 이중섭(1916~1956)의 ‘황소’는 옹골찬 골격에 강인한 힘을 내뿜지만 늘 보는 이를 응원하고 기원하게 만든다. 느리게 걸어가던 소는 앞발을 들어 올렸다가 내디디려는 그 찰나, 고개를 돌려 관객을 쳐다본다. 타고난 몸집이 컸으나 삐쩍 말라 살 없는 가죽이 뼈에 찰싹 들러붙었다. 소는 어깨를 올려 뿔로 치받으려는 자세를 취했다. 어떠한 역경
  • [조상인의 예(藝)-<9>박고석 '도봉산'] 푸른기운 도는 암벽의 서슬...하늘에 닿고 숲으로 퍼지다
    작가 2017.04.28 18:22:34
    여기 맑은 푸른색으로 한국의 산세를 그린 화가 박고석(1917~2002)이 있다. 그의 눈에는 도봉산 암벽의 서슬이 푸른빛 그 자체였다. 산세를 타고 흐르는 푸른 기운은 하늘에 닿았고 숲으로 퍼졌다. 조국의 산하를 푸른색에 담아 그린 김환기(1913~1974)의 푸른색 ‘환기블루’가 동양적 기품의 애잔함으로 심금을 울린다면 박고석의 맑은 파랑은 테너의 음성처럼 힘차게 감각을 자극하고 뇌리를 스쳐 정신을 깨운다. 뚝심으로 고집스럽게 산을 파고들기는 유영국(1916~2002) 못지않았던 박고석이다. 마음에 품은 산을 그리며 산의 추상성
  • [조상인의 예(藝)-<8>김종학 '설악의 숲']살 부비며 살아가는 야생화…자유와 공존의 어울림
    작가 2017.04.21 18:40:53
    시원한 계곡을 따라 날렵하게 날아오른 물총새가 향하는 곳은 한 무더기 꽃밭이다. 새의 날갯짓 아래로 물고기떼가 미끄러지듯 몸을 놀린다. 새는 어딘가 숨었을 먹잇감 벌레를 찾아 꽃잎을 뒤적인다. 이에 질세라 꽃 속에 얼굴을 처박은 벌은 꿀에 취한 듯 고개를 들 줄 모른다. 자연의 생명력과 자연다운 자연스러움이 넘쳐나는 원로화가 김종학(80)의 1997년작 ‘설악의 숲’이다. 인공으로 조성한 정원에서는 맛볼 수 없는 자유분방함과 공존의 미학이 꿈틀댄다. 꽃을 품종과 모양으로 나눠 골라심은 이는 누구인가. 인공적으로 관리한 정원과 달리
  • [조상인의 예(藝)-<7>프리다 칼로 '...사랑의 포옹'] 죽음의 고통·상처 딛고...女人, 우주를 품다
    작가 2017.04.14 18:39:19
    소아마비와 교통사고, 사랑과 불륜, 수술과 유산… 온갖 고통과 상처를 다 겪은 여자가 전(全) 우주를 끌어안았다. 멕시코를 대표하는 여성화가 프리다 칼로(1907~1954)는 피 흘리고 너덜너덜해진 몸과 마음으로 온 우주를 품었다. 아기처럼 안은, 제 몸보다 더 큰 벌거숭이는 남편이자 세계적 화가인 디에고 리베라(1886~1957)이다. 고개를 떨구고 앉은 여인이 축 늘어진 사내를 안고 있는 도상은 ‘피에타(Pieta)’다. 이탈리아어로 슬픔과 비탄을 뜻하는 ‘피에타’는 성모 마리아가 죽은 아들 예수의 시체를 무릎 위에 올린 장면을
  • [조상인의 예(藝)-홀바인 '덴마크의 크리스티나']'손'이 말하는 그녀의 속내
    작가 2017.04.09 05:00:20
    사람을 고르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사람을 소개하고 추천하는 일 또한 쉽지 않다. 선택해야 할 사람이 평생을 함께할 동반자라면 더욱 고심하게 되고, 그것이 왕의 반려자라면 크나큰 부담이 될 일이다. 한 나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의 아내이자 민중들이 우러러보는 왕비이며 주변국을 향해 존재감을 드러내는 인물이니 말이다. 잘 알려졌듯 영국 왕 헨리 8세(1491~1547)는 6번이나 결혼했다. 새 결혼을 위해 ‘이혼’ 절차가 필요했고 그로 인해 헨리 8세는 이미 500년 앞서 영국을 유럽에서 떼어내는 제1차 브렉시트(Brexit
  • [조상인의 예(藝)-홀바인 '덴마크의 크리스티나'] 왕이라도 나는 싫소...그림에 속지 마오
    작가 2017.04.08 05:49:18
    사람을 고르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사람을 소개하고 추천하는 일 또한 쉽지 않다. 선택해야 할 사람이 평생을 함께할 동반자라면 더욱 고심하게 되고, 그것이 왕의 반려자라면 크나큰 부담이 될 일이다. 한 나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의 아내이자 민중들이 우러러보는 왕비이며 주변국을 향해 존재감을 드러내는 인물이니 말이다. 잘 알려졌듯 영국 왕 헨리 8세(1491~1547)는 6번이나 결혼했다. 새 결혼을 위해 ‘이혼’ 절차가 필요했고 그로 인해 헨리 8세는 이미 500년 앞서 영국을 유럽에서 떼어내는 제1차 브렉시트(Brexit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