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 파업으로 협력 중소기업의 생산설비 가동률이 20%포인트 이상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협력 중소기업 10개사 중 8개사는 지난 7월 이후 현대차 노조의 장기간 파업에 따른 피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중소기업중앙회가 현대차 협력중소기업 120개사를 대상으로 지난 6일부터 12일까지 ‘노조 파업이 협력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파업 후 생산설비 가동률은 68.3%를 기록했다. 파업 전 생산설비 가동률(91.6%)보다 23.3%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또 응답기업의 81.7%는 ‘피해가 크다’가 답했다.
현대차 노조 파업으로 겪은 납품차질 경험 횟수의 경우 2016년에 평균 5.8회를 경험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4년의 평균 2.2회와 2015년의 평균 2.6회 대비 2배 넘게 증가한 규모다.
협력중소기업들은 파업 장기화 시 고려하고 있는 경영조치(복수응답)에 대해 ‘근로시간 단축 등 생산축소’(65.0%)를 가장 많이 꼽았다. 뒤 이어 ‘별다른 조치없이 기다린다’는 응답도 40.8%로 나타났다. 파업이 장기화될수록 현대차 협력사와 소속 근로자들의 손실이 고스란히 불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대차 협력 중소 기업들은 현대차 노조 파업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성숙한 노조운동 등을 통한 노사간 신뢰회복’(60.8%)을 꼽았다. 이어 현대차 사측의 원칙적 대응이 15.8%, 긴급 조정권 발동 등 엄격한 법 적용이 12.5%, 대기업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가 8.3%로 뒤를 이었다.
중기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현대차 노조 파업으로 협력중소기업들은 납품 차질과 매출 감소 등의 피해를 입게 된다”면서 “이번 조사는 현대차 파업이 중소기업에 얼마나 큰 경영상의 차질을 초래하는지, 결국 국가 전체적으로 막대한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조사”라고 설명했다.
/김상용기자 kim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