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X조선에 따르면 사측은 이날 새로운 조건을 담은 인력 감축안을 제시했으며 이를 놓고 노사가 다시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쉽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새로운 인력 감축안은 앞서 사측에서 제안한 아웃소싱 조건(3년간 통상임금 80% 해당 시급 적용, 시간외 근무수당 적용, 상여금 300% 제공 등)에서 노조에 보다 우호적으로 조정된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법정관리 여부를 결정할 데드라인이 코 앞으로 다가오면서 노조의 부담도 한층 커진 만큼 결국 노조가 결국 사측 안을 받아들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재차 법정관리로 갈 경우 회생 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는 점도 노조에는 부담이다.
사측은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이 요구한 고정비 40% 절감을 위해서는 인력 감축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생산직 695명 가운데 75%인 500여명을 줄이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생산직 대상으로 지난 8일까지 희망퇴직 및 아웃소싱(협력업체로 이동) 신청을 받았으나 총 144명만이 신청해 목표치의 30%도 달성하지 못했다.
산은은 “9일까지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하면 원칙대로 법정관리를 신청하겠다”는 방침이다. 산은은 사측에 요구한 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 방안은 STX조선의 독자 생존을 모색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이라고 보고 있다. 다만 이날 오후 5시까지로 제시했던 데드라인을 이날 밤 12시로 늦추고 노사 합의를 최대한 기다리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업계 안팎에서는 STX조선이 법정관리를 신청할 경우 회생이 어려울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법정관리로 갈 경우 기존에 수주한 선박의 계약이 파기되고 대외 신용도가 추락해 수주 활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앞서 진행된 컨설팅 결과에서도 회생 가치보다 청산 가치가 높게 나온 바 있다.
/노희영·김우보기자 nevermind@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