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바이오·제약 기업에 대한 회계감리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신약이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의 복제약) 등 분야별 연구개발(R&D) 비용의 회계처리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지난 9일부터 2주간 바이오·제약 기업 26곳을 대상으로 ‘R&D 비용의 회계처리 방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R&D의 자산화 비율이 0%라고 응답한 비율이 36.4%로 집계됐다. 이어 30% 미만이 27.3%, 31~50%가 22.7%, 51~100%가 13.6%를 기록했다. 26개 기업 중 9곳만이 R&D를 비용 처리하고 13곳은 최대 절반 가량을 자산으로 처리하고 있는 셈이다.
응답자의 84%가 회계처리에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신약, 바이오시밀러 등 연구개발 분야별로 회계기준이 필요하다는 데 78%가 찬성했다. 구체적인 회계처리 기준에 대해서는 임상 1상 개시와 임상 3상 개시가 각각 21.7%로 가장 높았다. 임상 2상 개시가 17.4%, 임상 2상 완료가 8.7%, 품목허가 완료 8.7%, 임상 3상 완료가 4.3%로 뒤를 이었다.
최근 업계에서는 R&D 비용의 회계처리 기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에서 국내 바이오·제약 기업이 임상 초기 실패할 확률이 높은 R&D비용을 자산으로 처리해 실적을 부풀렸다는 논란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연구·개발 중인 약의 종류에 따라 임상 성공률이 다른 만큼 융통성 있는 회계처리 기준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다양한 변수와 차별적인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는 바이오 산업은 국내에서 이제 막 산업 개화를 시작한 시점”이라며 “회계처리 방식에 대한 논의는 일률적인 기준보다는 산업적 특수성을 고려해 진행돼야 한다는게 기업들의 중론”이라고 말했다. /김지영기자 jik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