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달 간 가파르게 반등했던 유가가 강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최근 태풍 영향으로 멕시코만 일대 정유시설 가동이 멈춘데다 미중 무역 협상 재개,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 산유국의 감산 연장 등이 호재가 됐다. 그러나 석유 수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경기가 둔화 국면에 진입하면서 유가의 상승 탄력은 떨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유가가 크게 떨어지지도 오르지도 않는 박스권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12일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60.21달러로 0.02%(0.01달러) 오르면서 강보합세를 나타냈다. 이번 주 들어서는 4.7% 올랐다.
연초40달러 중반선이었던 WTI는 4월까지 꾸준히 상승하며 한때 66달러 선까지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미중 무역 협상이 결렬되자 5월 중순 이후 급락하며 6월 초에는 51달러 선까지 급락, 50달러 선을 위협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각종 호재가 쏟아지며 지난 한 달 간 20% 가까이 오른 상태다.
무엇보다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되면서 유가 반등을 이끌었다. 미국이 이란 석유 제재 유혜를 일괄 폐지하면서 이란 혁명수비대의 호르무즈 해협 인근 무력 소요가 연일 진행 중이다. 호르무즈 해협 인근에서 유조선 등 민간선박에 대한 산발적인 공격이 5월부터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과 사우디 측은 이를 이란측의 소행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미국의 무인정찰기를 이란이 공격하면서 한때 미국이 보복 공격까지 감행하려다가 취소하기도 했다. 삼성증권은 “이란 핵문제에 관한 미국의 요구가 까다로운데다가 이란 역시 강경파의 목소리가 커 지정학적 긴장이 쉽게 해소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또 멕시코만의 기상문제로 인한 정제 시설 가동률 하락 역시 원유 재고량을 떨어뜨리면서 유가 강세에 기여해왔다. 허리케인급으로 발달해 북상하는 열대성 폭풍 ‘배리’가 남부 루이지애나를 강타할 것으로 예상돼 인접한 유전지대의 정유시설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외신에 따르면 태풍으로 인해 약 32%의 걸프만 정제시설이 문을 닫은 상태다.
산유국의 감산 연장 합의 역시 공급과잉 우려는 완화 시켰다.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산유국으로 구성된 OPEC플러스는 기존의 감산 합의를 2020년 1분기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미중 무역협상이 재개 되고,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완화적인 통화 스탠스가 이어지면서 석유 가격을 지지하는 버팀목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와 미국 셰일가스발 초과 공급은 원유값 상승에 발목을 잡을 전망이다. 이로 인해 각종 호재에도 불구하고 원유 가격의 반등 폭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국제에너지기구는 최근 IEA는 내년 1분기에도 초과 공급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는 보고서를 내놨다. 내년 1분기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원유에 대한 글로벌 수요는 하루평균 2,800만 배럴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비 OPEC국가의 산유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6월에는 OPEC의 산유량이 일일 9만 배럴 줄었지만, 비OPEC 산유량이 39만씩 배럴 늘면서 전체적으로 공급량은 30만 배럴 증가했다. 공급은 증가하는 반면 글로벌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는 낮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올해 유가 역시 큰 폭의 하락이나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렵고 박스권에서 움직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삼성증권은 올 하반기 WTI기준 국제 유가가 50~70달러선에서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3분기중에는 배럴당 60달러 중반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는 판단이다.
IEA는 올해 평균 유가전망을 WTI기준으로 배럴당 59.58 달러, 브렌트유 기준으로는 66.51달러로 제시했다.
/이혜진기자 has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