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손실 사태를 부른 해외 금리 연계 파생상품(DLF)에 대한 금융감독원 검사 결과 불완전판매 정황이 확인되면서 해당 은행의 경영진에 대한 제재 가능성도 초미의 관심이 되고 있다.
1일 금감원 DLF 합동검사 결과 브리핑 과정에서 김동성 부원장보는 은행 경영진 제재 가능성에 대해 “지금 당장 책임이 있다거나 없다고 말씀드리기는 곤란하다”며 “앞으로 많은 법리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금감원은 DLF 불완전판매 논란을 일으킨 우리·하나은행에 대한 추가 검사에 착수했고, 법규 위반 사실이 드러나면 제재 절차를 거쳐 엄정 조치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경영진에 대한 제재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핵심은 은행장까지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느냐는 점이다. 대부분의 은행이 상품판매의 경우 본부장 전결로 처리해온 만큼 은행장까지 제재를 받을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나온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DLF 판매가 본부장 전결로 처리된다는 점에서 행장인 경영진까지 징계를 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금감원이 경영진 징계 가능성을 완전히 부인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은행이 60대 이상 고령 은퇴자에게 고위험 상품인 DLF를 팔았다 논란을 일으킨 만큼 도의적 책임을 지라는 목소리도 나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최악의 경우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겸 우리은행(000030)장의 연임이나 지난 3월 임기를 시작한 지성규 하나은행장이 예기치 못한 유탄을 맞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두 은행은 고객 피해 구제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지 행장은 피해자에게 공개 사과한 후 “책임 있는 자세로 분쟁조정절차 등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강조했다. 손 회장 역시 법이 허용하는 한도에서 고객들의 피해 구제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우리은행은 ‘고객 케어조직’을 신설해 상품 수익률이 위험구간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하나은행도 투자 분석센터를 만들어 지점에서 고객 투자성향을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본점의 승인 단계를 추가할 예정이다. 두 은행은 직원 핵심성과지표(KPI)에 고객의 수익률 등 고객 관리 비중을 확대하기로 하는 등 제도개선에도 나서고 있다. /송종호기자 joist1894@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