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계란 가격 조정을 위해 전 부처가 나서라”고 특별 지시를 내린 지 약 2주 뒤인 지난 12일 달걀값이 7,000원대에서 6,000원대로 떨어졌습니다. 지난 겨울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과 산란계(알을 낳는 닭) 살처분으로 달걀값이 급등한 이후 약 7개월 만입니다. 하지만 5,000원대였던 평년 가격과 비교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인 데다 다른 먹거리 물가가 급등세를 보이고 있어 당분간 소비자 물가 부담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13일 달걀 한 판(특란 30개)의 평균 소매가격은 6,893원이었습니다. 지난해까지 약 2년 간 5,000원 초반대를 유지하던 달걀 한 판 가격은 지난 겨울 AI로 산란계가 대거 살처분되며 지난 1월 28일 7,253원으로 처음 7,000원대를 기록했습니다. 2월에는 7,000원 중반대까지 치솟기도 했습니다.
최근 달걀값이 떨어지기 시작한 것은 산란계 수가 정상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6월 산란계 전체 사육 마릿수가 평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6월에 실제 달걀을 생산할 수 있는 6개월령 이상 산란계 수는 전년 대비 7.9%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 역시 8월까지 천천히 정상화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달걀값 고공행진으로 서민들의 물가 부담이 계속되자 정부는 이를 잡기 위해 총력전을 벌였습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경제부처 장관들에게 “달걀은 필수 먹거리인 만큼 양계업계뿐 아니라 소비자들에게도 피해가 갈 수 있으니 생산·유통·판매 단계를 점검하고 수입달걀의 충분한 확보를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특별하게 살피라”고 주문했습니다.
이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달걀 가격이 6,000원대로 인하될 수 있도록 특단의 각오로 대응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후 정부는 산란계 숫자를 더 빨리 회복시키기 위해 살처분 보상금 지급을 신속히 마무리하고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규모를 150억원에서 350억원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담합 징후 포착 시 조사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 시각에서 여전히 달걀값은 높은 수준입니다. 1년 전(5,134원)보다는 34.3%, 평년(5,247원)보다는 31.3% 비쌉니다. 달걀값이 6,000원대로 떨어진 이후 홍 부총리가 “코로나19 영향으로 가정 내 소비가 증가하는 등 국내 소요가 늘어난 부분을 맞추기에는 아직 국내 공급이 충분한 수준이 아니다”라며 “공급이 작년 수준으로 회복하는 시기까지 단기적으로 부족한 부분에 대해 수입을 통해 계란 수급을 맞추겠다”고 강조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달걀값 잡힌다 해도 다른 먹거리 물가 여전히 높은 상태라는 점은 문제입니다. 지난달 농축수산물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9.6%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돼지고기(9.9%), 쌀(14.3%), 국산쇠고기(7.7%), 고춧가루(34.4%) 등 생활과 밀접한 농축산물의 가격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이에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추석 전까지 농축수산물 가격을 조속히 안정시키기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