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의 핵심원자재법(CRMA)을 계기로 유럽 투자가 급물살을 탈 것입니다. 현지 양극재 공장 설립을 놓고 배터리셀 및 완성차 업체들과 논의하고 있습니다."
김정한 포스코케미칼 양극재연구센터장이 15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EU의 CRMA에 대한 대응 방안을 놓고 이같이 밝혔다. 원료부터 소재 생산, 재활용에 이르는 전체 밸류체인을 갖춘 포스코그룹이 선진국의 배터리 보호무역주의를 오히려 기회로 삼을 수 있다며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다.
EU가 추진하는 CRMA는 역내에서 최소 10% 이상의 원자재를 조달하고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해 원자재 회수율을 높이는 것을 골자로 한다. 김 센터장은 “EU의 요구를 충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있지만 정책에 빠르게 대응해 사업화할 수 있는 게 포스코의 경쟁력”이라며 “포스코홀딩스가 이미 폴란드에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가동하고 있는데 CRMA를 기점으로 양극재 사업 등 방향이 구체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미에 미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공장을 세우고 있는 포스코케미칼은 유럽에도 양극재 공장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김 센터장은 자사의 강점으로 전 세계로 뻗어 있는 광물 공급망에 기반한 원가 경쟁력을 꼽았다. 그는 “배터리 소재에서 원재료비가 80%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리튬·니켈·흑연을 보다 저렴하게 확보하는 게 사업의 성패를 가른다”면서 “제품 라인업도 하이니켈 양극재는 물론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등으로 확대하고 있어 배터리셀이나 완성차 회사의 러브콜이 잇따르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과 유럽에서 거세지는 중국산 원자재 배제의 움직임으로 포스코그룹의 가치가 더욱 높아졌다는 평가다. 김 센터장은 “이제는 완성차 업체들까지 직접 자원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면서 “포스코그룹은 일찍이 리튬·니켈 공급망을 선점한 만큼 양극재 헤게모니를 쥘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국내 소재 업계의 약점인 중국산 원료 수입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 센터장은 “양극재 핵심 원료인 전구체의 경우 당장은 중국 의존도가 높지만 자체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면서 “전남 광양에 연산 4만 5000톤 규모의 전구체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케미칼은 전구체 생산능력을 지난해 기준 1만 5000톤에서 2025년 22만 톤으로 확대해 자체 생산 비율을 64%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