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를 연속으로 동결한 이번 통화정책방향결정회의는 ‘앞으로 금리를 더 올릴 수 있다’는 금융통화위원회와 ‘더 올리지 못할 것’이라는 시장의 극명한 시각차를 재확인한 자리였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11일 ‘이제 금리 인상이 종료됐다’는 시장 평가에 대해 “과도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피벗(통화정책 방향 전환) 기대를 꺾으려 애썼다. 절대다수의 금통위원도 최종금리를 3.75% 이상으로 올릴 가능성을 열어두며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해석의 여지를 남겼다.
그렇지만 시장의 반응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번 금리 동결이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이뤄진 데다 한은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은 그대로 두면서 경제성장률 전망은 소폭 하향 조정을 시사한 탓이다. 극심한 수출 부진과 소비·투자 타격에 한은이 점차 국내 경기 상황을 신경 쓸 것이라는 시장 예상과 맞아떨어졌다. 국제 유가나 공공요금 인상이 물가에 미칠 영향이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등 변수가 남아 있지만 시장은 연내 인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날 이 총재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3.50%로 동결한 직후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시장의 금리 인상 종료 또는 연내 금리 인하 기대를 일축했다. 이 총재는 “(금리 인상이 종료됐다는) 금융시장 반응에 대해 많은 금통위원이 기대가 너무 과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물가 수준이 목표 수준에 수렴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논의는 안 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라며 “불확실성이 많아 올해 하반기 끝까지 가기 전에 금리 인하에 관해 언급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고도 했다.
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5명도 이날 최종금리를 3.75% 이상으로 열어놓고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남겨두는 데 의견을 모았다. 2분기 중 물가가 3%대로 떨어지는 등 둔화 흐름이 이어지겠으나 하반기까지 안심하기에는 여러모로 상황이 불확실하다는 이유에서다. 산유국 감산이 국제 유가에 미칠 영향이나 정부의 공공요금 인상 유보를 변수로 거론했다. 또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연준의 통화정책이 어떻게 전개될지도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한은과 시장의 의견이 이토록 갈리는 것은 무엇보다 국내 경기 상황에 대한 진단이 다르기 때문이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 1.6% 달성이 어렵다고 보면서도 주요국 성장률과 비교했을 때 낮지 않다고 평가했다. 낮아져도 금리로 대응할 일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반면 민간에서 전망하는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은 이보다 훨씬 낮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9개 투자은행(IB)의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1%다. 성장률 전망이 낮을수록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총재도 “경기 둔화 때문에 올해 말에는 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시장 기대가 자리 잡고 있는데 경기는 불확실성이 크다”며 “만약 시장이 맞으면 한은보다 예측을 잘한 것이지만 우리가 가진 데이터상으로는 하반기에 반도체 가격이 상승하지 않을 것이라는 증거를 찾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나 물가 흐름에 대해서 (시장과 한은 중) 누가 더 맞는지는 사후적으로 판단해야 하지만 금통위 입장에서는 (현 상황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경고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의 수차례 경고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는 여전히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마무리됐다는 해석이 나왔다. 이날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국내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이 마무리됐다는 기존 전망을 그대로 유지한다”며 “경기 하방 리스크가 확대되는 점을 고려하면 한은이 연내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도 “한은이 매파적 입장을 유지했지만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다”며 “연내 물가 하락 기조가 유지되면서 하반기 경기 하강과 금융 불안으로 시선이 옮겨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변수는 아직 안심할 수 없는 물가와 언제 또 변할지 모르는 연준의 통화정책이다. 이날 한은은 근원물가 상승률 둔화 속도가 더딘 만큼 기존 전망치(3.0%)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국내 물가에 직접 영향을 주는 국제 유가 전망도 불투명하다. 산유국들의 기습 감산으로 국제 유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SVB 사태로 인한 주요국 경기 둔화로 수요가 크지 않다는 반대 의견이 동시에 나오는 상황이다.
2월에 ‘안개가 짙으면 멈췄다 가야 한다’고 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했던 이 총재는 “불확실성이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물가 경로는 명확해진 반면 SVB 사태 등으로 새로운 불확실성이 더 많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